보호무역주의와 전세계 수요 둔화로 수출 차질이 우려된다. 사진은 지난 8월 18일 평택항 야적장에 철강제품이 쌓여 있는 모습. /사진=뉴시스


유럽연합(EU)이 철강 수입에 최대 50% 관세를 부과하는 새로운 쿼터(TRQ, 일정 물량만 낮은 세율을 적용하는 제도)를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0일 EU 철강 TRQ 도입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업계와 함께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박종원 산업부 통상차관보 주재로 열린 회의에서는 쿼터 물량 축소·쿼터 밖 세율 상향 등 EU 제안의 구체적인 내용이 공유됐다.

한국·EU 자유무역협정(FTA) 채널 활용, 수출기업 대상 이차보전(대출 이자 지원) 사업 검토 등 방안도 언급됐다. 산업부는 이번 달 말까지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 등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


EU는 지난 7일(현지 시각) 기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 제도를 대체할 철강 쿼터 개선안을 공개했다. ▲작년 대비 쿼터 물량 47% 축소 ▲쿼터 외 세율 25%에서 50%로 상향 ▲조강(쇳물을 틀에 부어 굳힌 초기 단계의 철강) 생산국 모니터링 도입 등이 포함됐다.

개선안이 내년 확정될 경우 철강 수출 2위 지역인 EU 수출에 상당한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철강업계는 글로벌 보호무역 기조 속에서 정부의 신속한 통상 대응과 함께 저탄소·고부가가치(비싸고 기술력이 높은) 제품 전환을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