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관세 15% 부과땐 경남 대미 수출 연4990억원 감소"
경남연구원 "자동차·기계 타격, 조선·방산은 기회"
경남=이채열 기자
공유하기
![]() |
한·미 통상 갈등이 본격화될 경우 경남 주요 수출 산업에 상당한 충격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경남연구원은 최근 발표한 '한·미 통상 현안과 경남 경제' 보고서를 통해 관세, 투자, 에너지 협력 등 다양한 통상 이슈가 경남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산업별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미 통상 현안으로 관세가 15% 부과될 경우 경남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4990억원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산업별로는 자동차 1374억원, 일반기계 1200억원, 항공 820억원 등 주력 수출 품목의 감소폭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경남 경제의 핵심축인 제조업이 대미 시장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단기적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반면 조선과 방위산업, 원전 분야는 새로운 기회를 맞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의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원전·에너지 협력 확대 정책이 맞물리면서 국내 조선소와 방산 기업이 참여할 여지가 크다는 것이다.
특히 원전 분야에서는 데이터센터용 소형모듈원자로(SMR)와 히트펌프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협력 확대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원은 대규모 대미 투자(약 5000억달러 규모)가 생산성 향상과 국제협력 강화라는 긍정적 효과를 낳는 반면 국내 산업 공동화와 핵심 기술 유출 위험이라는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도 함께 지적했다. 이에 따라 경남도는 위기 대응과 기회 활용을 병행하는 산업별 맞춤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대응 과제로는 △자동차 산업 내 한계기업 사전 점검과 위기대응 체계 구축 △조선·방산 분야 대규모 정부사업 선제 대응 △SMR·히트펌프 기술 투자 확대 △조선·기계 산업 생태계 보완을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 등이 제시됐다.
경상남도는 현재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산업안정대책TF'를 운영 중이며 변화하는 통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이우평 경남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는 단기적 현안 대응을 넘어 중장기적 구조 변화에 대비한 종합 전략을 제시한 것"이라며 "지역 산업계와 중앙정부가 함께 대응 전략을 마련해 경남이 위기와 기회를 균형 있게 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경남=이채열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