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버스, 한국과 항공우주 협력 확대… "공동 개발 파트너" 강조
KAI·대한항공 등과 오랜 협력… 차세대 방위·우주 시스템 공동 모색
김대영 기자
1,525
공유하기
![]() |
글로벌 항공우주 기업 에어버스는 산업 협력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통해 한국 항공우주 산업의 발전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희환 에어버스코리아 대표는 16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 호텔에서 미디어 브리핑을 열고 한국 항공우주 생태계에서 에어버스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 대표는 "에어버스와 한국은 지난 50 년이 넘는 기간 동안 상호 신뢰, 기술 혁신, 그리고 산업적 우수성을 바탕으로 한 파트너십을 이어왔다"며 "한국은 단순한 고객을 넘어 미래 항공우주 산업을 공동으로 개발해나가는 전략적 동반자"라고 말했다.
현재 한국에서는 160 대 이상의 에어버스 상용기, 60 대의 헬리콥터, 30 대의 군용 수송기가 성공적으로 운용되고 있으며 에어버스는 한국 정부, 항공사, 연구기관, 주요 산업 파트너 및 협력업체 등과 다양한 분야에서 폭보은 협력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에어버스의 한국 내 산업 기반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및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KAL- ASD) 등 주요 1차 협력사들과의 오랜 파트너십을 통해 확고히 자리 잡고 있다. 이들 기업은 에어버스의 글로벌 민항기 프로그램(A320, A330, A350 등)에 핵심 부품인 날개 구조물, 동체 조립체, 복합소재 부품 등을 공급하고 있다. 다수의 국내 중소기업들도 에어버스 공급망의 일원으로 참여하며 한국 항공우주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헬리콥터 부문에서는 에어버스가 KAI와 협력하여,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KUH Surion)과 소형무장헬기(LAH) 등 다양한 공동 개발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으며 추가 파생형 기체의 개발도 진행 중이다.
우주 분야에서도 에어버스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정지궤도복합위성(GEO-Kompsat) 시리즈및 곧 발사 예정인 아리랑 6 호(Kompsat-6) 개발 프로젝트 등을 지원하고 있다.
에어버스는 향후 한국 내 항공우주 시민(Aerospace Cizen)'으로서의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 대표는 "에어버스는 다음과 같은 핵심 분야에 집중하고 있다. 한국의 차세대 방위 및 우주 시스템, 그리고 헬리콥터 분야에서 향후 협력 가능성을 모색하는 한편, 한국의 탄소중립(Net-Zero) 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지속가능성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에어버스는 한국과 함께 구축하고, 협력하며,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국제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서울 ADEX 2025)에서 에어버스는 한국의 작전 및 전략적 요구에 맞춘 다양한 솔루션 라인업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차세대 화물기 A350F, A다목적 헬리콥터 H225M, ACH160, H140, 첨단 방위 플랫폼 A330 MRTT+, 유로존 지대공미사일작전통제센터(Surface-to-Air Missile Operations Centre), DARPT 시뮬레이터, 스차세대 위성 유로스타 네오(Eurostar NEO), 플레아데스 네오 넥스트(Pleiades Neo Next), 그리고 최신 플렉스로터(Flexrotor) 무인항공체계(UAS) 실물 크기 드론 등이 포함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