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밀가루업체 7곳의 담합 의혹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했다. 사진은 기사의 내용과 무관./사진=뉴시스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주요 밀가루 업체의 담합 의혹에 대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섰다. 최근 논란이 된 이른바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원재료 시장을 겨냥한 조치로 풀이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최근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대한제분, CJ제일제당, 사조동아원, 대선제분, 삼양사, 삼화제분, 한탑 등 7개 제분사에 조사관을 보내 현장조사를 진행했다. 각 회사에 조사관을 보낸 공정위는 이들이 가격 협의나 물량 조율 등 담합 여부를 들여다보기 위한 자료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빵값 인상으로 인한 논란을 의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데이터처의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같은 기간 빵값은 6.5% 오르면서 두드러지는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3월 진행된 설탕 담합 조사의 후속조치라는 해석도 나온다. 정부가 제빵 원재료를 둘러싼 시장 구조를 점검하려는 행보에 나섰다는 것이다. 공정위는 앞서 CJ제일제당·삼양사·대한제당 등 제당사를 대상으로 설탕 가격 담합 혐의에 대해 현장조사를 벌였으며, 이달 중 심사보고서 발송을 앞두고 있다.

국내 제분 시장은 CJ제일제당, 대한제분, 사조동아원이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주병기 공정위원장은 최근 국무회의에서 "국제 밀 가격과 국내 밀가루 가격 격차가 최근 4년간 30% 이상 벌어졌다"며 "이같은 차이를 보면 시장 내부의 구조적 문제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지난달 30일 국무회의에서 식료품, 생활용품 기업들의 담합 의혹과 관련한 조사를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물가라고 하는 것이 사실 담합 가능성도 높다"며 "정부가 (물가 안정화에) 작동하지 않은 측면이 강한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나라의 유통망을 (특정 기업이) 대부분 독과점하고 있지 않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