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상생페이백 대상자 415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됐다. 사진은 상생페이백 포스터. /사진=상생페이백 홈페이지 캡처


상생페이백 접수 한 달간 총 1058만명이 신청했으며 대상자 415만명에게 2414억원이 지급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16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지난 9월15일부터 10월14일까지 1057만9937명이 상생페이백을 신청했다. 이중 요건을 갖춘 415만명(41%)에게 9월 페이백으로 총 2414억원이 지급됐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약 5만8155원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서울·경기·인천) 신청 비중이 54%(570만명)로 나타났으며 수도권 외 지역에서는 부산(6.4%), 경남(6.0%) 순으로 신청이 많았다.


상생페이백은 만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9월부터 11월까지 월별 카드소비액이 지난해 월평균 카드소비액보다 늘면 증가분의 20%(월 최대 10만원)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 주는 사업이다.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은 전국 전통시장, 상점가 등 약 13만개 오프라인 온누리상품권 가맹점과 디지털 온누리 앱 '온라인 전통시장관'에서 사용할 수 있다.

중기부는 "2414억원은 백화점·아웃렛,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의 카드 소비액을 제외한 지난해 대비 카드소비 증가분의 20%를 환급한 것"이라며 "중소·소상공인, 전통시장에서 페이백 지급액의 5배인 약 1조2070억원의 소비 진작 효과가 발생해 매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페이백 신청 기간은 오는 11월30일 자정까지다. 이 기간 내 한 번만 신청하면 9월부터 11월까지의 소비 증가액이 매월 자동으로 계산된다. 9월 사용분에 대한 페이백은 지난 15일에 지급됐으며 10∼11월 환급분은 각각 다음 달 15일에 지급될 예정이다.

신청 시에는 개인이 보유한 모든 국내 신용·체크카드 사용액이 자동으로 합산된다. 온라인 신청은 상생페이백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온라인 접수가 어려운 경우 11월28일까지 전통시장 상인회, 소상공인지원센터 등을 방문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국민·우리·농협은행 등에 방문하면 신청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다.


추가로 상생페이백 신청 시 자동으로 응모되는 총 10억원 규모의 '상생소비복권' 이벤트도 진행돼 1등에게 2000만원의 경품이 지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