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 자격 관리제도 '구멍 숭숭'
윤재옥 의원 지적… 문제은행 만으로 쉽게 합격, 부정행위 방지장치도 없어
대구=황재윤 기자
공유하기
![]() |
2kg 이하 경량 드론의 자격 관리제도가 허술하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재옥 국민의힘 의원(대구 달서 을)이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토부는 2021년부터 드론 자격 제도를 1~4종으로 세분화하고 250g~2kg의 경량 드론까지 자격 취득 대상을 확대했다. 제도 시행 이후 자격 취득자는 해마다 10만명을 넘어섰으며 최근 5년간 총 54만5159명이 드론 자격을 취득했다.
이 중 4종(250g~2kg) 드론 자격자는 전체의 75% 이상을 차지하며 매년 8만5000명 이상이 쉽게 자격을 얻고 있다.
문제는 4종 자격 취득 과정의 관리가 너무 허술하다는데 있다.
1~3종 자격은 비행경력·필기·실기평가 등을 거쳐야 하지만 4종은 온라인 강의 수료와 문제은행식 평가 통과만으로 자격증이 발급된다. 윤 의원실이 직접 시험에 응시한 결과 포털사이트에 유출된 문제은행을 참고해 별도 학습 없이도 85점 이상으로 합격점(70점)을 넘는 점수를 획득할 수 있었다.
부정행위를 막는 장치도 부실하다. 온라인 강의 중 40분 이상 동작이 없을 경우 자동 로그아웃되는 기능이 전부이며 평가 과정에서의 부정행위나 무단 대리응시에 대한 실질적 제재는 전무하다.
이 같은 허술한 자격 제도는 불법 운행으로 직결되고 있다. 2021년부터 2025년 6월까지 비행금지·제한구역 내 불법운행 과태료 부과 사례 중 4종 드론이 667건(96.2%)으로 압도적이다. 반면 1종은 1건, 2종은 3건, 3종은 25건에 불과했다.
윤 의원은 "경량 드론의 성능이 빠르게 고도화되면서 범죄·테러 악용 위험도 커지고 있다"며 "4종 드론에 대한 관리·감독체계를 전면적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