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LB의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기반 임상 연구 결과가 유럽종양학회를 통해 공개됐다. /사진=HLB


세계 최고 권위 암학회인 유럽종양학회(ESMO 2025)에서 HLB의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 기반 임상 연구가 다수 발표됐다. 글로벌 신약으로서의 약물 가치와 적응증 확장 잠재력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는 평가다.


HLB는 지난 17일(현지시각) 독일 베를린에서 개막한 ESMO 2025에서 간암 1차 치료제 리보세라닙+캄렐리주맙 병용요법 글로벌 임상3상 사후 분석 결과를 비롯해 총 7건의 리보세라닙 기반 임상 연구를 공개했다고 20일 밝혔다.

올해 ESMO에서는 2개의 리보세라닙 관련 연구가 제안 논문으로 선정돼 구두 발표되며 약물의 임상적 가치가 부각됐다. 제안 논문은 엄격한 심사를 거쳐 채택된 학술적·임상적 중요성이 인정된 연구다. 연구자가 공식 세션에서 구두로 발표하는 상위 등급의 경쟁형 논문 발표 형식을 의미한다.


첫 번째 연구는 엘레바의 중국 파트너인 항서제약 주도로 진행된 절제 가능 간세포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수술 전후 리보+캄렐 병용의 효과를 입증한 중국 임상 3상 중간분석 결과다. 수술 단독 치료 대비 수술 전후 리보+캄렐 병용이 무사건생존기간 중앙값(mEFS)을 19.4개월에서 42.1개월로 2배 이상 연장했다. 주요 병리학적 반응(MPR) 또한 7.5% vs 35.1%로 향상시켰다.

두 번째 논문은 1차 치료 이후 재발·진행한 전이성 흉선 상피종양(TET) 환자에서 리보세라닙의 치료 효능을 입증한 연구자 주도 임상 2상 결과다. 리보세라닙은 전이성 TET 환자에서 객관적 반응률(ORR) 38.9%, 질병통제율(DCR) 94.4%를 기록하며 기존 치료 대비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한용해 HLB그룹 CTO(최고기술책임자)는 "올해 ESMO에서 리보세라닙 기반 임상이 다수 채택되고 특히 제안 논문 세션에서 구두 발표까지 이루어졌다는 것은 학계가 리보세라닙의 임상적 가치와 확장성을 명확하게 인정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