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석우 삼성전자 사장이 제20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정연 기자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회장을 맡고 있는 용석우 삼성전자 사장은 제20회 전자IT의 날 기념행사에서 "우리는 지금 미중 기술 패권 경제, 공급망 재편, AI 등 거대한 전환의 소용돌이 한 가운데에 서 있다"며 "(이러한 변화는) 기업들의 경영 전략 전반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용 사장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행사 개회사를 통해 "전자IT산업은 정부·기업·학계가 함께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지속 가능한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이같이 말했다.

용 사장은 "2005년 전자·IT산업이 수출 1000억불을 돌파하며 국가 경제를 견인하던 순간을 기념에 제정된 이번 행사가 올해 20주년을 맞이했다"며 "모두의 땀과 열정이 모여 대한민국은 세계 전자 IT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다"고 했다.


다만 전자IT 산업이 다양한 위기에 직면했다고 짚었다. 용 사장은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은 반도체, 배터리, AI 등 핵심 분야에서 갈수록 격화하고 있다"며 "기후 변화와 ESG 규제 강화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했다. 유럽연합(EU)의 탄소 국경 제도, 에코 디자인 규제를 비롯한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요구는 기업의 생존 조건이 됐다는 게 용 사장의 진단이다.

AI 전환의 물결은 산업과 일상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다고 봤다. 용 사장은 "생성형 AI, 피지컬 AI 초연결 인프라 기술은 전자IT 산업 환경을 재편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고 했다.


이러한 상황 속 전자IT업계가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도 격려했다. 용 사장은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주요 품목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쟁력을 재확인하고 2000억불 수출을 달성했다"며 "최근 정부는 10대 핵심 분야에서 제조 1등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고 했다. 이어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도 정부의 정책 기조에 발맞춰 AI 데이터 기반의 제조 혁신, 기업의 글로벌 진출 등을 지원하겠다"며 지속가능한 AX 전환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용 사장은 "우리는 세계 최고의 전자IT 강국으로서 새로운 미래를 여는 문 앞에 서 있다"며 "AI와 지속 가능성의 시대 속 글로벌 리더십을 공고히 해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