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지역 각계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변경은 국가전략 부재"
광주=정태관 기자
공유하기
![]() |
광주지역 정치권과 시민사회, 경제계, 종교·학계 등 각계 대표 80여 명이 21일 밤 광주시청에 긴급히 모여 '국가AI컴퓨팅센터 입지 논란'에 대한 정부의 책임 있는 입장 표명을 강력히 요구했다.
참석자들은 이번 사태가 단순히 지역 간 유치 경쟁을 넘어 국가 AI 산업의 방향성을 흔드는 심각한 문제라며 정부의 전략 부재를 깊이 우려했다.
이날 회의는 삼성SDS가 당초 광주 유치를 전제로 논의를 이어오던 국가AI컴퓨팅센터 사업 공모지를 전남으로 선회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긴급히 소집됐다. 광주시는 정부와 기업, 지역사회가 함께 논의해온 상황에서 기업의 돌연한 입장 변화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광주미래산업 비상회의'를 개최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후보 시절 직접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었고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도 명시돼 있다"며 "그런데 정부와 기업이 오로지 땅값과 전력요금 같은 경제성 만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광주시는 삼성SDS와 오랜 기간 협의하며 GPU 즉시 투입, 부지 가격 인하, 전력요금 특례입법 추진, 최대 1000억원 투자 지원 등 실질적 조건을 제시했다"며 "AI데이터센터, 기업, 인재가 이미 집적된 광주는 센터 설립의 최적지"라고 강조했다.
그는 "공모 마감을 열흘 앞두고 기업이 입장을 뒤집은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회의 참석자들은 한목소리로 "국가의 핵심 전략 사업이 단기 경제 논리에 좌우돼선 안된다"며 정부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시민사회와 종교계 인사들은 "이번 사태는 단순한 지역 불이익을 넘어 대통령 공약과 국가 정책의 신뢰를 훼손하는 문제"라고 지적했다.
광주기독교교단협의회 정석윤 대표회장은 "대통령의 약속이 기업의 이해관계에 흔들려서는 안 된다"며 "이번 결정은 지역에 대한 배신이자 국가 정책 신뢰의 위기"라고 말했다.
오상진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장은 "AI는 속도와 집적이 핵심인데 이미 인프라와 인재가 모여 있는 광주보다 비인프라 지역을 선택한다면 국가 경쟁력을 스스로 떨어뜨리는 일"이라고 우려했다.
최치국 광주연구원장 "국가 정책사업의 방향이 기업 논리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부당하다"며 공모 절차의 공정성 검증을 요구했다.
경제계에서도 같은 목소리가 이어졌다. 박화석 한국금형산업진흥회장은 "광주는 이미 인재·기업·기반시설이 집약된 완성형 AI 도시"라며 "이를 외면하는 것은 예산 낭비이자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광주시는 이날 회의 명의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에 '이재명 대통령 제1호 공약, 국가AI컴퓨팅센터 광주 설립 이행 촉구문'을 전달하기로 했다. 참석자들은 "대통령의 공식 공약으로 명시된 사업이 기업 판단 하나로 뒤집히는 일은 있어서는 안 된다"며 정부와 여당의 재검토를 요구했다.
강기정 시장은 "광주의 AI산업은 특정 기업을 위한 사업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공공의 AI"라며 "국가AI컴퓨팅센터는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 센터가 들어서면 스타트업과 대학, 연구기관이 저비용으로 컴퓨팅 자원을 활용해 혁신을 주도할 수 있다"며 "광주는 이미 그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비상회의에는 신수정 광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지역 구청장 5명, 학계, 시민사회, 종교계, 경제계, 금융계, 5·18단체 등 각계 인사 80여 명이 참석했다. 회의장에는 정부의 불투명한 결정 과정에 대한 비판과 함께 '광주가 국가 AI산업 중심 도시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절박한 목소리가 이어졌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광주=정태관 기자
머니S 호남지사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