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6대 상장 건설업체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전망이다. 사진은 서울 시내의 한 건설현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노동자들. /사진=뉴시스


국내 시공능력 상위 6개 상장 건설업체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 몇 년간 건설업계는 매출 증감과 영업이익 하락이 지속됐다. 원자재와 인건비의 급격한 상승으로 공사 이윤이 줄어든 데 따른 영향이다. 이에 기업들이 영업활동을 위축시켜 수익성을 높이는 데 집중한 전략이 영업이익 상승에 기여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금융정보업체 FN가이드의 추정(컨센서스)에 따르면 삼성물산·현대건설·대우건설·GS건설·DL이앤씨·HDC현대산업개발의 3분기 영업이익은 평균 29.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현대건설을 제외하고 5개 건설업체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매출은 수주 감소 영향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전년 동기 대비 가장 큰 폭의 영업이익이 증가한 기업은 HDC현대산업개발이다. 3분기 HDC현대산업개발의 영업이익은 867억원으로 예상돼 전년 동기(475억원) 대비 82.5% 증가할 전망이다. 서울원 아이파크 등 자체 분양사업의 실적이 반영된 결과다. 매출은 같은 기간 1.5% 감소(1조886억원→1조721억원)가 예상된다.


대우건설과 DL이앤씨도 눈에 띄는 상승이 기대된다. 대우건설은 원가율 개선으로 전년 동기(623억원) 대비 60.4% 증가한 999억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된다. 매출은 2조5478억원에서 2조700억원으로 감소할 예정이다. DL이앤씨도 영업이익은 42.8%(833억원→1176억원) 증가하는 반면 매출은 1조9189억원에서 1조8524억원으로 감소가 예상된다.

GS건설과 삼성물산도 상승세가 예상된다. GS건설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006억원으로 전년 동기(818억원) 대비 22.9% 증가가 예상된다. 삼성물산도 7.6% 증가(7362억원→7919억원)가 기대된다. 두 회사 모두 매출은 감소할 전망이다. GS건설은 3.0%(3조1092억원→3조168억원) 삼성물산은 1.8%(10조3099억원→10조1241억원) 각각 매출이 감소할 전망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주택 원가율이 높았던 건설 현장들이 마무리돼 원가율 하락 효과가 실적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다른 건설업계 관계자는 "자잿값 안정과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로 실적 전망이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다만 현대건설은 6개 건설업체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 감소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현대건설의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36.7%(1143억원→723억원) 하락이 예상된다. 매출도 8조2569억원에서 7조4734억원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현대건설의 실적 악화는 자회사 현대엔지니어링의 '본드콜'(Bond Call) 영향이다. 지난 8월 폴란드 플라스틱 플랜트와 말레이시아 전력 플랜트 현장의 발주사들이 현대엔지니어링을 상대로 본드콜을 요청했다. 본드콜은 발주사가 도급 계약 미이행을 사유로 계약 이행 보증금을 몰수하는 조치다.

"대형 건설업체 실적 안정 기대"

대형 건설업체들의 실적 안정이 지속될 것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2020~2022년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착공된 공사의 손실들이 반영 완료됐고 공사비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박선구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실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에 발생한 손실들이 마무리 단계"라며 "자잿값과 인건비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어 대형 건설업체들의 실적이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 자잿값은 안정세를 유지 중이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현대건설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철근 가격은 2023년 t(톤)당 96만4000원에서 올해 들어 91만2000원까지 하락했다. 후판 가격도 2023년(103만9000원)보다 18.0% 하락한 t당 85만2000원까지 낮아졌다.

레미콘과 시멘트는 가격 상승을 유지했다. 레미콘은 ㎥(루베)당 9만1400원으로 2023년(8만7300원) 대비 4.7% 상승했다. 시멘트는 t당 10만6000원으로 2023년(9만9000원) 대비 7.0% 올랐다.

대형 건설업체들은 정부의 건설안전 규제 강화와 제재에도 이 같은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실장은 "건설업체들이 정부의 규제 강화로 안전관련 비용을 늘리고 있지만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다"라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