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 1개에 5000만원"… 캄보디아 중국계 병원, 장기 밀매 공장?
김다솜 기자
공유하기
한국인 대학생이 캄보디아 내 범죄조직에 납치돼 고문 끝에 숨지는 등 현지 납치 문제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캄보디아에서 장기 밀매 사건이 횡행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현지에서 실종돼 생사를 알 수 없는 한국인이 80명이 넘는 만큼 장기 밀매 실태에 대해서도 폭넓게 조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동아일보는 지난 4월 미국 조지메이슨대 연구진이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E)급 국제학술지에 게재한 논문을 인용해 캄보디아가 국제 장기 밀매 시장의 새로운 '브로커 허브 국가'로 떠올랐다고 단독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캄보디아에서는 최근 11년(2012~2022년)간 최소 10건의 장기 밀매 중개 사건이 드러났다. 인도, 파키스탄, 중국 등에 이어 7위다. 2023년 7월엔 인도네시아 경찰은 자국민 122명을 캄보디아 프놈펜으로 유인해 콩팥을 각 9000달러(약 1290만원)에 밀매한 일당 12명을 체포한 사건이 있었다.
피해자들은 고수입 일자리를 제안받고 현지로 끌려가 감금된 채 수술을 강요당했다. 같은 해 베트남 호찌민 법원도 캄보디아에서 장기 밀매를 주선한 일당 8명에게 징역형을 선고한 바 있다.
국제 인권단체들은 캄보디아의 부패한 사법 구조와 느슨한 국경 관리가 장기 밀매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인접국보다 국경 관리가 허술해 밀매 세력이 쉽게 들어올 수 있고, 불법 시술이 이뤄져도 단속이 실질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또 장기 밀매 거점으로 지목된 현지 병원 대부분은 2010년대부터 중국의 지원으로 건립돼 운영 중인 곳이다. 중국은 이 병원들에 의료진을 파견해 장기이식 역량이 없던 캄보디아에 기술을 전파했다.
일각에서는 한국인 피해자 일부가 장기 밀매에 이용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18년째 프놈펜에 사는 한 교민은 매체에 "웬치(범죄단지)에 납치된 한국인이 장기매매에 이용됐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 전했다. 이곳에서 사업 중인 또 다른 교민은 "도심에 중국계 '이식 전문 병원'이 있다. 70대 지인은 이 병원에서 2년 전 5000만원을 내고 콩팥 이식받았다"면서 "지인은 이식받은 장기가 자연사한 시신에서 적출된 것이라는 설명을 들었다고 했다. 하지만 현지에선 누구나 그 출처를 의심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다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