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을 왜 해요"… 1억 모은 'MZ 자산가' 늘었다
장동규 기자
공유하기
1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보유한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 가운데 MZ세대(1980~2000년대생)의 비중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 저축 위주였던 자산운용이 투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세대별 자산관리 패턴에도 변화가 뚜렷하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지난달 29일 발표한 '2026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1억원 이상 금융자산을 가진 사람 중 MZ세대 비중은 2022년 19.8%에서 지난해 33.6%로 상승했다. 대중 부유층 3명 중 1명이 MZ세대라는 의미다.
자산 구성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저축자산 비중은 2023년 45.4%에서 올해 42.7%로 하락했지만, 투자자산 비중은 같은 기간 27.7%→31.1%→32.2%로 확대됐다. 연구소는 "MZ세대의 투자 참여로 자산운용의 중심축이 바뀌고 있다"고 분석했다.
세대별로도 투자 성향의 차이가 뚜렷했다. Z세대(1991년 이후 출생)의 금융자산 중 투자·가상자산 비중은 올해 26.3%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상승했다. 평균 예치액은 959만원으로 집계됐다.
밀레니얼세대(1981~1990년생)는 투자자산 비중이 34.8%로 4.1%포인트 증가, 평균 예치액은 2991만원이었다. 반면 X세대(1971~1980년생)는 33.1%로 소폭 증가에 그쳤다. 베이비붐세대(1955~1970년생)는 28.0%로 3.9%포인트 감소했다. 베이비붐세대의 평균 예치액은 47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MZ세대의 금융 지식과 의사결정 역량에 대한 자신감도 높아졌다.
'경제·금융 관련 기사를 챙겨본다'는 응답은 지난해 33.4%에서 올해 35.2%로 상승했다. '합리적인 금융 의사결정을 내릴 자신이 있다'는 응답은 전년 대비 6.3%포인트 증가해 타 세대를 웃돌았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장동규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장동규 기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