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광덕 남양주시장(앞줄 오른쪽으로부터 4번째) 등 31개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 소속 단체장들이 2026년 본예산 편성을 앞두고 중앙정부 및 경기도가 추진 중인 국·도비 보조사업에서 기초지자체의 재정 분담률을 과도하게 상향 조정하고 있는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이에 대한 즉각적인 개선을 촉구했다. 사진은 지난 9월 22일 시흥시 거북섬 웨이브엠호텔 웨스트 컨벤션홀에서 열린 민선 8기 제9차 정기회의 단체사진. /사진제공=남양주시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회장 주광덕 남양주시장)는 2026년 본예산 편성을 앞두고 경기도와 중앙정부가 국·도비 보조사업에서 기초지자체의 재정 분담률을 과도하게 상향하는 것에 대해 "일방적이고 부당하다"며 즉각적인 개선을 촉구하고 나섰다.


4일 협의회는 성명을 통해 재정 부담이 기초지자체로 전가되는 구조가 지속될 경우 주민 생활과 직결된 사업들이 대거 중단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고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협의회는 특히 경기도가 도지사 공약사업을 포함한 각종 시책사업에서 경기도 분담 비율을 하향하고, 시·군에 최대 20%까지 추가 분담을 요구하고 있는 점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미 취약한 재정 상황에 놓인 시·군으로서는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지적이다.


경기도 31개 시·군은 분담률 인상으로 인해 경기도의 재정 축소분만큼 자체 사업량을 줄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도와 시·군이 공동 추진해 온 △지역개발 △복지 △공공인프라 사업은 중단되거나 대폭 축소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특히 주민 생활과 직결된 보건, 환경, 교육 등 핵심 사업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경기도시장군수협의회는 "경기도가 재정 부담을 시·군에 전가하는 구조가 지속된다면, 각 시·군은 필연적으로 사업을 축소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으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도민에게 돌아가게 된다"며 "기초지자체의 책임만 강조하는 정책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경기도는 시·군과의 협의를 통해 분담 비율을 기존 수준으로 회복해, 기존 사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