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원 "필리조선소는 상선 중심"… 핵추진 잠수함 국내 건조 주장
임한별 기자
1,192
공유하기
유용원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한미정상회담에서 거론된 핵추진 잠수함 건조와 관련해 "한국형 핵추진 잠수함은 미국 필리조선소가 아닌 국내 조선소에서 우리 기술로 건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4일 뉴시스에 따르면 유 의원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이번 결정은 한미동맹이 군사·기술 협력의 새로운 단계로 들어섰다는 것을 보여주는 결정"이라고 말했다.
유 의원은 "핵추진 잠수함은 단순한 전력 보강이 아니라 우리 해군의 작전 능력과 해양 이익을 지키는 핵심 전력·전략무기"라며 "설계와 기술, 안전 관리까지 우리 산업기반과 방산 역량을 활용해 국내에서 추진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언급한 미국 펜실베니아주 필리조선소는 현재 잠수함 건조 시설이 전무한 상선 중심 조선소다. 일련의 행정·기술 절차를 모두 새로 밟아야 한다"며 "이 과정은 최소 5년에서 10년 이상이 소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유 의원은 "한국은 이미 핵추진 잠수함을 국내에서 건조할 역량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다"며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나라는 핵추진 잠수함용 소형 원자로와 추진체 개발 등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지난 30여년 동안 연구개발에 투입된 누적 예산은 수 천억원에 이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미국 핵 잠수함은 농축도 약 95%의 고농축 우라늄을 사용하는데 만약 미국이 고농축 우라늄을 제공한다면 우리 소형 원자로를 재설계해야 한다"며 "이미 확보된 국내 기술 기반을 이용해 저농축 우라늄 기반 핵추진 잠수함을 국내에서 건조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가장 최선의 방안"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임한별 기자
머니투데이 경제전문지 머니S 사진부 임한별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