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항공소재개발연합 성과 공개… 국산화 228종 확보
김대영 기자
공유하기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은 사천 본사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의 국산화 개발 성과를 발표하고 기술교류회를 6일 개최했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2019년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과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을 목표로 출범되었고 현재는 경상대학교, 한국재료연구원, 소재부품 제조사 43곳을 포함해 총 52개 업체 및 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교류회에서는 국민대학교·부산대학교·울산대학교 3개 대학이 기술협력 협약을 체결하면서 연합에 동참했다.
지금까지 알루미늄 압출재와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소재 69여 종과 기계류, 전장류, 배관류의 표준품 159여 종 등 총 228종의 국산화가 성공했다. 국산화 소재를 KF-21 및 양산기 등에 적용해 715억원의 누적 수입 대체 효과도 달성됐다.
KAI는 1800여종의 소재와 표준품 중 2030년까지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종(900여 종)을 국산 소재로 대체하는 것이 목표다. 1조3000여억원 상당의 수입대체 효과가 예상된다.
KAI 관계자는 "소재 국산화에 성공하면 공급의 안정을 통해 원가경쟁력은 물론 생산일정 단축·운송비 절감 등 수출 경쟁력 제고가 가능하다"며 "부가가치가 크기 때문에 경제효과 및 고용창출 효과도 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