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1인가구 5년간 6.7% 급증...가구 셋 중 하나 '나 홀로'
인천=박진영 기자
공유하기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가 최근 5년간 전국 평균을 웃도는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전체 가구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인천광역시 1인가구 지원 조례'에 따른 실태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간 진행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인천시의 1인가구는 최근 5년간(2019~2024년) 연평균 6.7% 증가해 전국 평균(5.5%)을 상회했으며, 2024년 기준 전체 일반가구 중 1인가구 비율은 32.5%로 나타났다.
1인가구가 된 주요 사유로는 이혼·별거·사별 등 관계 단절 요인이 50.1%로 가장 높았고, '일 또는 학업'(35.6%), '개인의 편의와 자유'(9.7%)가 뒤를 이었다. 특히 청년층은 자발적 이유가, 중장년층 이상은 비자발적 요인이 주를 이뤘다.
생활의 어려움으로는 '아플 때나 위급 상황'(29.9%), '식사 준비 등 가사활동'(13.4%), '고독과 외로움'(8.8%)이 주요 응답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으로는 산책·나들이·여행(22.2%), 친구 만남 등 친목 활동(18.8%), 운동(13.7%)이 선호됐다.
정책적 지원이 가장 필요한 분야로는 주거 안정(30.3%)과 경제 자립(29.2%)이 꼽혔으며, 건강 관리(8.8%)도 중요한 과제로 지목됐다. 인천시는 연령대와 성별을 반영한 21개 그룹의 심층면접 결과를 바탕으로 맞춤형 정책 수립에 나설 계획이다.
신병철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은 "다양한 형태의 1인가구가 실질적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외로움국'을 중심으로 정책 발굴과 지원체계 고도화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인천=박진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