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S+] 타이어도 흔든 미 25% 관세… 한국타이어만 웃었다
한타, 원가 절감 효과로 실적 개선… 금타·넥센, 관세 완화로 4분기 실적 개선 전망
김이재 기자
1,971
공유하기
올해 3분기 국내 타이어 3사의 희비가 엇갈렸다. 미국의 고율 관세 여파로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의 영업이익이 감소한 반면, 한국타이어는 원가 절감 효과로 실적 개선을 이뤘다. 3사 모두 외형 성장을 유지한 만큼, 한·미 관세 합의가 시행될 경우 4분기부터 수익성이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금호타이어와 넥센타이어의 영업이익은 10~20% 감소했다. 전체 매출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북미 시장에서 고율 관세가 적용되며 수익성이 악화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타이어 3사의 3분기 합산 관세 부담 금액은 약 1000억원대로 추산된다.
화재 악재가 겹친 금호타이어는 3분기 전년 동기 대비 22.6% 감소한 영업이익 108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0.1% 줄어든 1조1137억원으로 8분기 연속 1조원 이상을 유지했다. 국내 매출은 광주공장 화재로 4개월간 생산이 중단되면서 9% 줄어든 1868억원에 그쳤다.
관세 부담에도 북미 시장에서는 성장세를 이어갔다. 금호타이어의 북미 지역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4% 증가한 4098억원으로 집계됐다. 고인치 중심의 신제품 출시와 대형세단, SUV(스포츠유틸리티차) 등 지역별 전략 차종 공급 확대가 주효했다.
금호타이어 관계자는 "관세 부과와 자동차 시장 침체 등 불확실성과 변동성이 커진 시점에 비교적 실적 선방을 거뒀다"며 "프리미엄 제품 공급, 글로벌 유통 확대, 브랜드 인지도 강화 등을 통해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넥센타이어는 3분기 매출 7807억원, 영업이익 465억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2%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1.1% 감소했다. 유럽과 국내 시장에서 안정적인 판매가 이어지며 관세에 따른 수익성 하락을 일부 상쇄한 것으로 분석된다.
구체적으로 유럽에서는 신규 공급 차종 중심의 신차용(OE) 타이어 공급이 확대, 겨울용 타이어 규제 강화에 맞춰 출시한 신제품 판매가 증가했다. 국내 시장의 경우 하계 성수기 효과와 렌탈 판매 호조로 역대 최대 분기 매출을 달성했다.
넥센타이어는 4분기 현지화를 통한 수출 다각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최근 수요가 증가하는 남동유럽·중남미·중동 지역 등에 신규 거점을 설립했다. 넥센타이어 관계자는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와 글로벌 생산지 최적화를 통해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타이어는 유일하게 매출과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 이상 성장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22.3% 성장한 5조4127억원, 영업이익은 24.6% 증가한 5859억원을 기록했다. 타이어 부문 매출액은 전년 대비 11.2% 증가한 2조7070억원, 영업이익은 10.4% 증가한 5192억원으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교체용(RE) 타이어와 고인치 중심의 OE 타이어 판매가 고르게 늘어난 덕분이다. 전기차, SUV 등에 탑재되는 고인치 타이어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평균 판매 단가가 높아 수익성 향상에 도움이 된다. 한국타이어는 포르쉐 '마칸', 샤오미 'YU7', BMW 'iX'∙'뉴 i4' 등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 핵심 차종에 OE 타이어 공급을 확대하고 있다.
재료비와 운임비 하락도 호실적에 힘을 보탰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해상 운임비와 타이어 원재료비가 줄어들면서 수익성이 개선됐다"며 "판매 단가가 높은 프리미엄 전기차용 신차 타이어 공급이 늘어난 것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이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