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려진 청사, 아파트로 탈바꿈… LH 복합개발 본격화
9·7 대책 후속 '노후청사 복합개발 TF' 가동
이화랑 기자
공유하기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를 위해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을 본격 추진한다.
10일 LH에 따르면 9·7 주택 공급 확대 방안 후속 조치로 복합개발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 전담 TF'를 신설했다.
전담 TF는 ▲국토부·LH·지자체 간 협력체계 지원 ▲신규 사업지 발굴 ▲복합 유형별 사업모델 수립▲관련 제도·법령 개선 지원 등 사업 속도와 실행력을 높일 수 있는 업무를 전담한다.
복합개발 모델은 주거시설과 행정·복지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한 건물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형태다. 지역 개방형 생활공간이자 도심형 복합생활거점으로 조성된다.
앞서 9·7대책에는 노후 공공청사와 국유지를 재정비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2만8000가구를 착공하는 내용이 포함됐다. LH는 노후청사 복합개발 사업을 통해 현재까지 총 28개지구 4956가구를 준공했다. 지난해 9월에는 서울 강동구에 기존 노후 주민센터 부지를 활용해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를 건립했다.
청사는 지하 5층~지상 14층 규모다. 지상 1층~6층에는 주민센터, 작은도서관, 어린이집, 경로당, 사회복지관, 지역아동센터 등이 배치됐다. 7층부터 14층에는 공공임대주택 94가구가 들어섰다.
강오순 LH 지역균형본부장은 "노후 공공청사 복합개발은 주거공급 확대, 노후 공공자산 활용,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사업모델"이라며 "전담 조직도 신설한 만큼 노후 공공청사 개발사업 속도를 높여 수도권 도심 내 주택공급을 빠르게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화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