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보 거래소 이사장 "코스피 6000 가능… 상승 여력 있다는 평가"
한국거래소,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세미나' 개최
이예빈 기자
공유하기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코스피 6000시대에 대한 긍정 전망을 전하며 "자본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11일 정은보 이사장은 한국거래소가 이날 개최한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세미나'에 참석, 개회사를 통해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은 코스피 상승이 주력 산업 경쟁력 회복, 밸류업을 비롯한 자본시장 체질 개선 위한 시장 참여자 노력 덕분이라고 평했다"며 "이들은 코스피 5000은 물론 6000까지도 가능하다고 전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증시가 기업들의 실적 개선과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에 따라 상승 여력이 여전히 충분하다는 평가"라고 덧붙였다.
거래소는 신사업 중심인 AI(인공지능), 반도체 등 미래 선도 첨단 산업의 자본시장 진입을 적극적으로 지원해 정부의 생산적 금융 전환을 뒷받침할 예정이다. 정 이사장은 "24시간 거래 체계, 결제 시간 단축, 시장 구조 개편, 출입·퇴출 제도 등 자본시장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겠다"며 "가상자산 ETF(상장지수펀드), STO(토큰증권) 등 디지털 자산 증권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고 다짐했다.
축사를 맡은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코스피 5000, 더 이상 구호가 아닌 현실 가능한 목표라 생각한다"며 "기업 자율성 존중, 투명한 지배구조, 주주친화정책 등 시장 신뢰 끌어내는 정책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정무위 간사로서 자본시장 선진화 위한 목소리를 경청해 정책에 적극 반영할 것으로, 올해 안에 코스피 5000이 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이번 세미나는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을 계기로 밸류업 추진 성과를 조명하고, 학계 및 자본시장 전문가들과 함께 코스피 5000 시대 도약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동원 KB증권 리서치센터장이 '40년 만의 상승장 진입, 내년 주식시장 및 반도체 전망을 중심으로'을 주제로 코스피 최고치 경신의 의미와 향후 시장 전망에 대해 설명한다. 황현영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이 '밸류업 및 지배구조 입법의 성과와 과제' 발표를 통해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와 정부의 지배구조 개선 정책과 연계한 향후 추진 과제를 제시한다.
한국거래소는 코스피 5000 시대를 향한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장 참가자들과 지속해서 소통해 나갈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예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