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선 경북도의원/사진제공=박용선 의원 사무소



정부가 발표한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에서 포항시가 제외되자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다. 박용선 경상북도의원(포항, 국민의힘)은 "산업 생태계를 떠받쳐 온 포항이 또다시 소외됐다"며 "이는 정부의 명백한 정책 실패"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정부는 이번에 제주·전남·부산 강서구·경기 의왕 등 4곳을 특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이들 지역은 태양광과 에너지저장장치(ESS) 중심의 재생에너지 모델을 제시한 반면 포항은 청정 암모니아 발전과 수소 기반 전력전환, 데이터센터 전력 공급 등 산업형 모델을 내세웠지만 '보류' 판정을 받았다.

박 의원은 "포항은 철강·수소·이차전지·바이오 산업이 집적된 국가 핵심 산업도시로 전국에서 가장 안정적인 전력 인프라를 갖춘 곳"이라며 "정부가 포항을 제외한 것은 지역 역량 부족이 아니라 정부의 철학 빈곤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포항은 산업기반만 유지하라는 식의 정책으로 역차별을 받고 있다"며 "이번 결정은 단순 행정 보류가 아니라 포항 경제의 사형선고"라고 비판했다. 이어 "수소경제·철강 고도화·배터리 산업 등 포항의 미래 먹거리는 전기요금 경쟁력에 달려 있다"며 "특화 지역 제외는 기업 유치와 일자리 창출의 불리함으로 직결된다"고 경고했다.

또한 그는 "정부가 재생에너지 비중만을 기준으로 삼는 것은 산업 현실을 모르는 탁상행정"이라며 "포항은 이미 수소·암모니아 기반 청정발전 실증을 진행 중인데 이를 외면한 판단은 형평성을 잃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 의원은 "정부가 '동해안 시대'를 외치면서도 실제 정책에서는 동해안 경제권을 배제하고 있다"며 "포항을 에너지 전환의 중심축으로 재평가하고 분산 에너지 특화 지역 지정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포항은 대한민국 산업 에너지의 심장"이라며 "정부가 이를 외면한다면 국가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