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전환·에너지 비용 부담"… 위기의 중소제조업, 해법은
황정원 기자
공유하기
공급망 재편, 탄소중립, 인공지능(AI) 대전환 등 급변하는 산업 환경 속에서 중소 제조업의 위기를 진단하고 혁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서울 여의도 중기중앙회에서 '중소 제조업 전환 전략 : 위기에서 혁신으로'를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기업의 자구적 혁신과 정부의 정책 지원 방향을 논의했다고 11일 밝혔다.
오기웅 중기중앙회 상근부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지금이야말로 제조업은 위기이자 기회의 변곡점에 서 있다"며 "오늘 토론회가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향성을 잡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발제를 맡은 오윤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10년간 대한민국 제조업 경쟁력은 대·중소기업이 함께 축적해 온 산업 공유지를 얼마나 체계적으로 지켜내는가에 달렸다"고 진단했다.
오 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 현장개선 중심의 첨단화 ▲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공동 인프라 구축 ▲ AI·로봇 등 기술 도입의 지속성 확보 ▲ 혁신 투자와 신용성의 연계 등 4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이어진 종합 토론에서는 민·관·연 전문가들이 중소 제조업의 녹색 전환(GX)과 AI 전환(AX)을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박평재 중기중앙회 부회장(한국표면처리공업협동조합 이사장)은 "표면처리 업계가 마주한 환경·안전 규제가 200개를 넘는다"며 업종별 공동 대응체계 마련을 위한 정책적 뒷받침을 요청했다.
장용환 경인주물공단사업협동조합 이사장은 "전력 다소비 업종을 대상으로 전력비 보조 및 차등 요금체계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권순재 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정책관은 "2030년까지 AI 중심 스마트공장 1만2000개 구축과 AI 적용기업 산업재해 20% 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며 ▲ 중소 제조기업 AI 대전환 ▲ 스마트제조 기술기업 육성 ▲ 제조데이터 표준화 등 3대 이행계획을 소개했다.
이날 오후에는 '2025년 제2차 뿌리산업위원회'가 열려 뿌리산업 정책 방향과 전기요금 개선 방안 등을 논의했다.
위원들은 정부의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립 추진으로 산업용 전기요금 부담이 심화될 것을 우려하며 전기요금 제도 합리화와 산업 현장의 에너지 전환 지원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박평재 뿌리산업위원장은 "에너지비용 부담 완화를 위한 지원책이 시급하다"며 "뿌리산업위원회가 산업계 소통창구로서 현안을 발굴하고 현장 의견을 적극 개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황정원 기자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뉴스를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