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내년 하반기 첫선을 보일 '전세사기 근절을 위한 AI 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안내. /사진제공=경기도


집 주소만 입력하면 AI(인공지능)가 전세 계약 모든 과정을 분석해 위험 요소를 알려주는 'AI 기반 거래 안전망 솔루션 구축 사업'이 내년 하반기 경기도에서 첫선을 보인다.


경기도는 정부가 주관한 '디지털 기반 사회현안 해결 프로젝트' 공모에서 'AI 기반 전세사기 예방 시스템 구축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고 13일 밝혔다.

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주관한 이번 공모 선정으로 총사업비14억원(국비 12억원, 도비 2억원)을 확보했다. 이달 NIA와 협약을 체결하고, 내년에 공동으로 시스템을 구축한 뒤 이관받아 내년 하반기부터 직접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부동산 거래 전 과정을 AI가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위험요소 발견 즉시 경고하는 사전예방형 시스템이다. 전세 계약 시 임차인이 복잡한 서류 확인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보다 쉽고 정확하게 계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시스템이 계약 전·중·후 단계별로 모니터링해 근저당 과다, 허위 소유권, 보증금 미반환 등 주요 전세사기 위험을 조기에 탐지, 대응한다.


계약 전 집 주소만 웹사이트에 입력하면 등기부·시세·근저당·신탁 등 공개 정보를 자동 분석해 계약의 안전도를 진단한다. 임대인 신용·채무 등 개인정보 항목은 임대인과 임차인의 동의하에 분석·제공하게 된다.

계약 후에는 등기부 변동 사항을 실시간 감시해 권리침해나 허위 소유권 이전 등 위험을 즉시 알려 피해를 사전에 차단한다.


경기도는 전세사기 피해 예방을 위해 공인중개사와 함께 추진 중인 '경기 안전전세 프로젝트'와 연계해 시스템의 실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손임성 경기도 도시주택실장은 "권리관계 확인 미흡이나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전세사기 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다"면서 "이번 사업은 단순한 기술 플랫폼을 넘어 임차인의 안전을 지키고 사기 위험을 사전에 차단하는 실질적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