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릴 커들(Daryl Caudle) 미국 해군참모총장은 13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국방부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갖고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지원하며 함께 나아가기로 한 것은 양국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대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이 지난 14일 오후 서울 용산구 그랜드하얏트에서 머니투데이 더300(the300) 등 내외신 언론과 인터뷰하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김인한 기자


미국 해군을 이끄는 수장이 한국의 핵추진 공격잠수함 건조를 공개적으로 지지하며 이 전력이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특히 중국을 견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릴 커들 미국 해군참모총장은 지난 13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국방부 출입기자단과 인터뷰를 갖고 "미국이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건조를 지원하며 함께 나아가기로 한 것은 양국 모두에게 역사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커들 총장은 한국의 핵잠수함 보유가 중국에 미칠 영향에 대해 "그 잠수함을 중국을 억제하는 데 활용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예측"이라며 "한국도 상당 부분 중국에 대한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남중국해를 넘어 한국 주변 해역까지 늘어나는 중국의 해상 활동에 대해서도 커들 총장은 강력히 경고했다. 그는 "중국의 '회색지대' 활동은 전 세계적인 우려 요인"이라며 "이런 행태를 방치하면 비정상적인 행동이 정상으로 굳어질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커들 총장은 중국의 경제력 때문에 대응을 망설여서는 안 되며 "이런 상황에서는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 모델이 최선의 접근"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 양국 해군이 공동 작전을 통해 중국의 불법적인 행동이 용인되지 않음을 분명히 보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커들 총장은 한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보급함, 지원함 등은 거의 제약 없이 즉시 협력을 시작할 수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다만 핵잠수함 건조와 운용에는 ▲산업 기반 ▲전문 교육·훈련 체계 ▲핵추진체계 유지·정비 능력 등 시간이 필요한 과제들이 있고 미국의 '존스법' 등 법적 절차와 민감한 이해관계가 얽혀 있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커들 총장은 이번 협력을 통해 한국 해군이 '글로벌 해군'으로 도약할 기회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한국도 언젠가는 그 핵추진 잠수함들을 전 세계적으로 운용할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면서 단순히 지역 중심의 해군이 아니라 더 넓은 무대에서 활동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