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반도체·에너지·바이오 등 주력 사업을 중심으로 국내 투자를 지속하고 고용 창출에도 적극 나서며 'AI 3대 강국' 비전을 포함한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사진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는 모습. /사진=대통령실사진기자단(뉴시스)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인공지능(AI)·반도체·에너지·바이오 등 주력 사업을 중심으로 국내 투자를 지속하고 고용 창출에도 적극 나서며 'AI 3대 강국' 비전을 포함한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위해 2028년까지 128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차질 없이 이행하는 한편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AI 인프라 구축 등 산업 발전 속도에 맞춰 투자 범위와 시기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방침이다.


최 회장은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한·미 관세 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 자리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2028년까지 128조원 규모의 국내 투자를 통해 실질적 경제 성장을 견인하겠다"고 밝혔다. 적극적 투자를 통해 AI 산업 생태계 확장과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가 대표적 사례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등 고부가가치 메모리 수요 급증과 공정 첨단화로 인해 당초 계획보다 투자 규모가 크게 확대됐다. 업계에 따르면 최종적으로 팹 4기가 완공되면 용인 클러스터에 대한 총 투자 규모는 6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용인 클러스터에는 총 4기의 팹이 들어설 계획으로 각 팹의 규모는 청주 캠퍼스 M15X 6기와 맞먹는 수준이다. 팹 건설 속도는 시장 수요에 따라 조절될 예정이다.


SK는 매년 8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하며 일자리 창출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앞으로도 채용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최 회장은 "반도체 팹이 일부 오픈할 때마다 2000명 이상의 추가 인력이 필요해 팹 1기당 1만4000명에서 2만명 규모의 직간접 고용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팹 가동 속도와 시장 수요에 따라 SK 자체 인력뿐만 아니라 협력회사를 통한 고용도 함께 늘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트리니티 팹' 통해 국내 반도체 생태계 강화

SK는 글로벌 AI 허브로서의 국가 위상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사진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난 10월28일 경북 경주시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 마련된 ‘K테크 쇼케이스’ 전시에서 맷 가먼(Matt Garman) 아마존웹서비스(AWS) 최고경영자(CEO)가 함께 관람하고 있는 모습. /사진=SK텔레콤 제공


SK는 국내 첨단 산업 생태계 활성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SK하이닉스는 국내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와 협력해 8600억원 규모의 '트리니티 팹'(Trinity Fab)'을 구축하고 있다. 트리니티 팹은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세워지는 '첨단 반도체 개발용 미니 팹'으로 소부장 기업들이 자체 개발 제품을 실증 테스트하고 양산성을 검증할 수 있는 공간이다. 비영리 재단법인 형태로 운영되며 소부장 협력회사뿐만 아니라 연구기관, 학계, 스타트업 등 다양한 참여 주체가 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플랫폼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또 SK는 글로벌 AI 허브로서의 국가 위상 확보에도 힘쓰고 있다.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협력해 울산에 AI 데이터센터를 건설 중이며 2027년 상업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이퍼스케일급(100MW 규모)으로 운영될 해당 센터는 동북아 AI 허브로 기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업계에서는 울산 단지에만 수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한다. 오픈AI(OpenAI)와도 협력해 한반도 서남권 지역에 AI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내외 파트너와 함께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에 나서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