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로바이러스 증상 및 예방법이 주목된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 /사진=클립아트코리아


겨울철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다. 급성 장관감염증인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은 주로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발생한다. 모든 연령층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고 전파력 또한 강해 주의해야 한다. 평소 개인위생과 예방관리에 신경써야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막을 수 있다.


19일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 따르면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면 1~2일 안에 구토와 설사를 하고 복통, 오한, 발열, 메스꺼움, 근육통 등을 겪을 수 있다. 대부분 2~3일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되지만 구토와 설사로 인한 탈수 증상은 경계해야 한다. 소변량이 줄거나 입과 목이 바싹 마를 때, 일어날 시 어지럼증을 느낄 때 탈수 증상을 의심할 수 있다.

감염 경로는 주로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다. 특히 겨울철 별미로 뽑히는 굴을 생으로 먹었을 때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경우가 잦다. 환자 분변이나 구토물에 오염된 손 또는 환경을 접촉한 경우와 환자 구토물의 비말 등을 통해서도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황별 수칙을 준수해야 한다. 일상생활 시에는 외출 및 식사 전후, 용변을 본 뒤, 기침·재채기를 한 후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닦는 게 좋다. 음식물은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해 익혀 먹어야 한다. 음식 조리 시 칼과 도마는 소독해 사용하고 조리도구는 채소·고기·생선용 등으로 구분해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환자가 발생했을 때는 감염자와 비감염자의 공간을 구분해 생활하는 것을 권고한다. 환자는 증상이 사라진 후 48시간 동안은 등교 및 출근하지 않는 게 좋다. 이 밖에 배변 후 변기 뚜껑을 닫고 물 내리기, 환자 접촉 환경에 대한 염소 소독 등도 노로바이러스 추가 감염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질병청은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일상적인 개인위생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예방수칙을 생활화하고 이상 증상이 있을 경우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