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석 두나무 대표 "디지털자산 대전환 시기, 성장 엔진 교체해야"
두나무 정책 콘퍼런스 '디콘(D-CON) 2025', 코인업계 혜안 한데 모은다
양진원 기자
1,685
공유하기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가 디지털자산을 고리로 산업 구조를 전환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급변하는 산업 생태계에 적응해 선진국 대열에서 자리를 굳건하게 다져야 한다고 했다.
오경석 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두나무 정책 콘퍼런스 '디콘(D-CON) 2025'를 통해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하루빨리 경쟁력 확보에 힘을 쏟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 대표는 "대한민국 산업 발전사는 '성장 엔진의 세대교체'의 역사"라며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으로의 전환, IT와 콘텐츠 산업의 고도화를 거치며 세계가 인정하는 강국이 됐다"고 말했다.
미국 주도의 디지털자산 대전환 시기, 한국이 선도적인 산업 국가로서 위상을 놓치지 않아야 한다고 역설했다. 오 대표는 "지금은 또 다른 변화의 시기"라며 "디지털자산은 이러한 변화를 이끄는 주인공 중에 하나"라고 전했다.
이어 "스테이블 코인이 불러온 지급 결제 역시 자산 포탈을 통한 자본시장의 데이터 전환,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투자 전략 변화 등 디지털 자산 혁명은 금융의 작동 방식을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주요 국가들은 자국의 디지털 자산 산업을 육성하여 미래 금융의 패권을 쥐기 위한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오 대표는 주요 금융 허브들이 발빠르게 디지털자산으로 움직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미국, 싱가포르, 홍콩 등 전통적인 금융 허브들은 이제 디지털 자산 원조의 도약을 국가적 아젠다로 천명하고 있다"며 "미래의 대한민국을 이끌어가기 위해 디지털 자산 산업을 어떻게 하려고 할지 깊이 고민할 시간"이라고 설명했다.
이 같은 변화를 수용해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 대표는 "산업 구조 전환이라는 그동안의 성공 방정식을 다시 이용할 때인 것"이라며 "업비트는 국내를 대표하는 디지털자산 기업이라는 책임감을 가지고 디지털자산 거래소를 넘어 미래 금융을 선도하는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콘퍼런스를 통해 국내 디지털자산의 경쟁력을 국가와 민간이 함께 힘을 모으는 자리가 되길 희망했다. 오 대표는 "디콘(D-CON)에서는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정책 과제와 발전 전략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질 예정"이라며 "산업 전환은 국가와 민간의 힘을 합쳐야 성공할 수 있는 만큼 정책 수립과 경영 전략 마련에 힌트를 얻을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양진원 기자
안녕하세요 양진원 기자입니다. 많은 제보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