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 국가 생존 과제"…수원시, 도농 상생 토론회
수원=남상인 기자
공유하기
수원특례시는 지방 소멸 문제 해결을 위한 해법을 모색하고 도농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19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지방 소멸 대응 도시·농촌 상생협력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2025 대한민국 지방시대 엑스포' 공식 콘퍼런스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으며, 수원시, 봉화군, 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등이 공동 주최하고 학계 및 연구기관이 공동 주관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이재준 수원시장과 조동두 대한민국시장군수구청장협의회 사무총장, 박시홍 봉화군 부군수는 '도시·농촌 상생협력 제도화를 위한 지방소멸 대응 대정부 정책 건의문'을 채택했다.
이어 주제 발표는 총 3개 세션으로 진행했다. 이차희 국토연구원 부연구위원은 '지방 소멸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전망'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수원–봉화 협력 사례처럼 지방정부가 주도하고 민간과 시민이 함께 참여하는 도농 상생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도영 수원특례시 정책실장은 '도–농 간 생활 인프라 상생협력, 수원과 봉화의 사례'를 발표하며 청량산 수원캠핑장을 소개했다. 그는 "도시민의 확실한 여가 수요와 농촌의 유휴 자연 자원을 결합한 '생활인프라 기반 도농 상생 모델'은 지방 소멸 대응에 있어 가장 현실적인 전략"이라고 밝혔다.
'지방 소멸 대응 도시–농촌 상생협력 제도화 방안'을 발표한 오형은 지역활성화센터 대표는 지방 소멸 핵심 해결책으로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거버넌스 구축과 기능적 연계 강화'를 제시했다. 오 대표는 "도시·농촌 협력 지속성을 확보하려면 도농상생법 제정 등 법·재정 기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향수 한국지방자치학회 차기 회장을 좌장으로 패널토론이 이어졌다. 박중근 행정안전부 균형발전제도과장, 조판기 국토연구원 경영부원장, 이윤경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콘텐츠본부장, 오명근 청주시정연구원 연구본부장이 참여했다. 패널들은 "지방 소멸은 더 이상 개별 지역의 문제가 아닌 국가 생존 전략의 핵심 의제"라며 "협력 모델 제도화와 중앙·지방 간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이날 영상 축사에서 "지방 소멸은 더 이상 미래의 위험이 아닌 지금 당장 해결해야 할 국가적 생존 과제"라며 "청량산 수원캠핑장 상생 모델은 협력이 어떤 변화를 만드는지 보여주는 대표적 모델"이라고 평가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개회사에서 "지방 소멸은 농촌만의 문제가 아니라 도시의 지속가능성도 위협하는 대한민국 전체의 문제"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도시와 농촌이 하나의 공동체로서 지방 소멸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수원시와 봉화군이 함께 추진한 '청량산 수원캠핑장' 사례는 도시와 농촌이 신뢰로 연결된, 첫 실천적 도농상생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수원=남상인 기자
머니S 경기취재본부 남상인 입니다. 경기도와 수원, 안양시 등 6개 지자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