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혁 경북도의원이 21일 열린 제35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도정질의를 하고 있다./사진제공=경북도의회



김창혁 경상북도의원(구미7·국민의힘)은 21일 열린 제359회 제2차 정례회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경북도 경제발전과 민생안정을 위한 도정의 선제적이고 책임 있는 결단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의원은 △미래 산업기반 구축 △지역 금융 주권 확보 △도시 주거환경·안전망 재건 △소상공인 민생 지원 등 4대 축을 중심으로 도정 전반의 전략적 전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그는 기회발전특구와 관련해 "총 13조7312억원 투자와 6234명의 고용 창출이 가능한 역사적 기회"라면서 "특구 지정 이후 도 차원의 재정적 결단 없이 행정이 답보 상태에 머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도비를 활용한 '재정적 마중물' 투입과 규제 혁파를 위한 원스톱 행정지원 시스템 구축을 촉구했다.


금융 인프라 분야에서는 한국은행 구미지역본부 재설치를 강력히 요구했다. 그는 "구미시는 무역수지와 수출 실적에서 전국 상위권을 차지하는 핵심 도시임에도, 한은 지점 폐쇄 이후 정책금융 대응이 어렵다"며 "신공항 경제권, 반도체·방산 산업 핵심 거점으로서 금융 인프라 정상화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소상공인 지원과 관련해서는 공공배달앱 '먹깨비' 사업에 대한 도 차원의 지원 축소를 지적하며 "플랫폼 독과점 환경에서 자영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공공 조정 플랫폼 역할을 도가 다시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장 강도 높은 지적은 구미 국가산단 배후 주거지역 슬럼화 문제였다. 김 의원은 "노후 원룸 밀집 지역은 공실률 증가, 범죄·고독사 확산 등으로 '사회적 재앙 수준'에 이르렀다"며 "올해에만 자살·고독사 관련 출동 54건, 사망 25명이 발생한 것은 행정의 방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공이 공실 원룸을 매입해 청년주택 등으로 전환하는 공공주도형 주거 재생 모델을 제안했다.

김 의원은 "경북의 미래 경쟁력과 260만 도민의 생존권이 달린 중대한 문제"라며 "이제는 수동적 대응이 아니라 과감하고 선제적인 정책 결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