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회 위원장이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서초사옥에서 열리는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정연 기자


이찬희 삼성 준법감시위원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등기이사 복귀에 다시 한번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위원장은 25일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사옥에서 열리는 준감위 정례회의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이 회장 등기이사 복귀)에 대한 생각을 유지하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삼성 계열사 부당합병 및 회계부정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진 이 회장은 지난 7월 대법원에서 최종적으로 무죄를 확정받고, 지난 10년간의 사법 리스크를 완전히 털어낸 바 있다.

최근 단행된 정기 임원 인사에 관해선 "삼성이 기술 회사인 만큼 기술 인재를 중용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동안은 회장님의 사법 리스크 때문에 '기술 추구'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부사장, 상무, 펠로우(Fellow), 마스터(Master)에 대한 내년 정기 임원인사를 실시했다. 지난해(137명)보다 24명 더 많은 161명을 승진시켰다. 이번 인사는 미래 기술 중심인 인사를 대거 승진시키기고, 젊은 리더들을 과감히 발탁했다는 점에서 주목받는다.

사업지원실 개편에 "제도라는 것이 이름보다는 운용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아직 사업지원실이 어떻게 운용되는지에 대해서 우리로서는 알 수가 없기 때문에 뭐라 할 말은 없다"고 했다. 이어 "준법의 영역에서 문제가 있을지 여부 등은 계속 주의 깊게 살펴보겠다"고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7일 그룹 사업지원TF(태스크포스)를 8년 만에 정식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시켰다.


삼성바이오로직스 개인 정보 유출 건에 대해선 차기 안건으로 다루는 방향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저희 관계사인 삼성물산이 최대주주이긴 하지만 자회사는 아니므로 상법상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이 지분 구조상 없다"면서도 "삼성물산이 관계사이기 때문에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해 어떤 문제가 있는지 주의 깊게 바라보겠다"고 했다.

삼성전자에서 불거진 정보유출 문제에 대해서도 "정보유출의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일률적으로 말씀드릴 순 없다"면서도 "정보보호는 상당히 중요한 영역인 만큼 어떤 부분에서 위법한 문제가 발생했는지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준감위 자진 해체 의사에 대한 질문에는 "준감위는 삼성 내에 완전한 준법 체계가 자리 잡히면 자기 소멸을 향해 가는 조직"이라며 "제가 결정할 문제는 아니고 회사와 많은 분의 의견을 따를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