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진 네이버 창업주. /그래픽=머니S


네이버와 두나무의 통합이 공식화되면서 웹3 및 미래 디지털 금융산업의 판도가 달라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26일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계열로 편입하고 웹3 및 미래 디지털 금융산업 도전의 기반을 마련한다"고 밝혔다.


네이버 이사회는 이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계열로 편입하는 안건을 승인했다. 같은 날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이사회에서도 해당 건이 의결됐다.

AI와 블록체인, 결제 인프라 기술을 통한 금융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글로벌 금융 산업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는 평가다. 국내 최대 간편결제 사업자인 네이버파이낸셜은 3400만명이 넘는 사용자와 연간 80조원에 이르는 결제 규모를 확보하고 있고 두나무는 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다.


관심을 모았던 포괄적 주식 교환 비율은 복수의 외부 전문기관으로부터 평가받은 기업 지분 가치로 진행된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는 각각 4.9조원, 15.1조원으로 기업 가치 비율은 1:3.06 으로 산정됐다. 다만 각 사 발행주식 총수가 상이해 개별 주식 단위로 환산한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의 주당 교환가액 비율은 1:2.54 (두나무 주당 가격 43만9252원, 네이버파이낸셜 주당 가격 17만2780원 / 두나무 1주당 네이버파이낸셜 2.54주로 교환)다.

네이버파이낸셜과 두나무의 기업가치비율 1:3.06으로 포괄적 주식 교환을 진행한 이후 네이버는 네이버파이낸셜에 대한 지분 17%에, 두나무의 송치형 회장, 김형년 부회장이 보유하게 되는 네이버파이낸셜 지분의 의결권(각각 19.5%, 10.0%)을 위임받아 총 46.5%의 의결권을 확보하며 네이버파이낸셜에 대한 지배적 지위를 유지할 예정이다. 포괄적 주식 교환이 완료되면 네이버파이낸셜은 일반사업지주사로 변경되며 두나무를 완전 자회사로 편입한다.


네이버는 "두나무의 계열 편입 이후 양사는 AI 및 검색 기술, 간편결제, 블록체인 기술 역량의 융합으로 웹3 환경으로의 변화 속에서 선도적으로 글로벌 도전의 새로운 원동력을 갖추겠다"며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의 기술 저변 확대, 인재 양성, 디지털 자산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를 높여나가는 데 책임감 있는 역할을 다할 뿐만 아니라 글로벌에 진출해 K 핀테크의 저력을 알려나갈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