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대책위원회가 지난 17일 부천역 일대 막장 유튜버 근절을 위한 가두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사진제공=인천시


부천시가 욕설과 폭력 등 기행 방송을 일삼는 이른바 '막장 유튜버' 근절 작업에 나서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다. 부천시의 적극 대응 이후 경찰 신고와 민원 접수가 크게 줄었고 시민과 상권이 활력을 되찾고 있다는 평가다.


부천시는 지난 9월 13개 부서가 합동으로 '부천역 이미지 개선 전담조직(TF)'을 꾸려 시설 개선, 공동체 협력, 제도 지원 등 종합대책을 추진했다. 광장 중앙 조형물 철거, 볼라드와 의자 설치, 경찰 순찰차 전용 주차구역 마련 등 범죄예방 환경설계 기법을 적용해 유튜버들이 장시간 머물며 방송하기 어렵게 환경을 바꿨다. 광장 곳곳에는 "막장 유튜버 후원하는 당신, 당신도 막장!"이라는 현수막이 걸려 시민 경각심을 높였다.

공동체 협력도 강화됐다. 지역 12개 단체가 결성한 '부천역 막장 유튜버 근절 시민대책위'는 매일 오후 가두캠페인과 순찰을 이어가며 시민 참여를 확대하고 있다. 시는 이들의 활동 거점으로 미디어안전센터를 설치해 지원하고 있다. 지난 25일에도 시민 40여 명이 피노키오 광장에서 "막장 유튜버는 부천을 떠나라"는 구호를 외치며 행진했다. 조용익 부천시장은 현장을 찾아 "여러분이야말로 부천시를 지키는 장본인"이라며 감사 인사를 전했다.


상권 회복을 위한 지원책도 병행된다. 시는 상인 간담회를 열고 '경기 살리기 통큰세일'에 부천역 광장을 포함했으며 부천페이 결제 시 최대 20% 환급 혜택을 제공한다. 지난 8일에는 지역예술인 12개 팀이 참여한 생활문화 공연이 열려 시민과 상인들의 호응을 얻었다.

근본 해결을 위한 제도 개선도 속도를 내고 있다. 지역 국회의원들은 막장 유튜버와 BJ 처벌 강화를 위한 형법 개정안을 발의했으며 시는 불법·유해 콘텐츠의 수익구조 차단을 위해 정부·국회·구글 코리아 등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 협력을 요청했다. 오는 12월 말까지 '막장 유튜버·BJ 제재 입법 촉구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특별사법경찰관 관련 법률 개정안도 검토 중이다.


이 같은 대응은 수치로도 확인된다. 막장 유튜버 관련 112 신고 건수는 지난 8월 둘째 주 141건에서 10월 말 37건으로 74% 감소했고 국민신문고 민원 접수도 40건에서 7건으로 82% 줄었다. 심야시간대 소음과 폭력도 눈에 띄게 줄었다는 평가다.

조용익 시장은 "시민이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다고 느낄 때까지 강력 대응을 지속하겠다"며 "불법적이고 기행적인 방송 활동을 뿌리 뽑을 때까지 끝까지 단호하게 대처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