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샨샤댐 붕괴 위기와 관련한 말이 떠도는 가운데 우리나라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두고 누리꾼들의 관심이 쏠린다. /사진=로이터
중국 샨샤댐 붕괴 위기와 관련한 말이 떠도는 가운데 우리나라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를 두고 누리꾼들의 관심이 쏠린다.
중국에서는 지난 6월부터 폭우가 쏟아졌다. 이에 남부 양쯔강 중하류 일대가 대범람 위기에 처했다.
더불어 이 지역에 건설된 세계 최대 규모의 샨샤댐 수위가 한계점에 도달했다. 이 지역에는 9기의 원자력발전소가 있어 위험은 더 크다.
24일 외신 등에 따르면 중국 남부지역 큰비와 홍수로 장시·안후이·후베이성 등 27개 지역에서 지난 22일 기준 이재민 4552만명, 사망 및 실종 142명, 가옥 파손 3만5000채의 피해를 당했다.
이재민을 낳은 폭우에 샨샤댐까지 위험하다.
만약 이 댐이 한계수위를 넘어 범람하거나 수압을 못 견디고 무너진다면 양쯔강 하류인 상하이 지역 대홍수가 불가피하고 이 지역에 건설된 9기의 원전까지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샨샤댐은 지난 2006년 완공된 세계 최대 수력발전댐이다. 댐의 길이는 2.3㎞, 높이는 181m이며, 최대 저수량은 393억㎥이다. 샨샤댐 수위는 지난 20일 기준 홍수조절 수위(145m)를 약 20m 넘긴 164.4m까지 치솟았다.
최고 제방높이(181m)에 근접하면서 이미 댐 바닥이 변형되기 시작했다는 중국 내 학계의 보고가 있어 불안감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현지 전문가들과 국내 재난·원전 전문가들은 샨샤댐 붕괴 때는 양쯔강 하류의 9기 원전에 직접적인 타격까지 가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원전 학계 한국 인사는 "중국 상하이 지역 원전에 사고가 발생해 방사능이 유출되면 크루시오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 제주 지역과 남해안이 직접 피해를 보고 일본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재테크 경제주간지’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