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의원 "한국은행 지방대 출신 차별"
광주=정태관
3,053
공유하기
한국은행이 지방인재 몫으로 선발한 신입행원 중 다수를 2년 만에 지역본부로 발령낸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민주당 이낙연 의원(전남 담양 함평 영광 장성)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지방인재로 채용한 6명의 직원 중 5명이 지방으로 발령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김중수 총재 취임 이후 직원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부터 지방인재채용목표제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신입직원 채용 시 합격 예정인원의 20%를 지방대 출신자로 뽑아 지방대 졸업생에게 기회를 넓혀주자는 취지로 시행됐다.
그러나 정작 선발된 지방인재 대다수는 2년 만에 다시 지방에 배치됐다. 이 의원은 이 날 국정감사에서 지방인재 인원 대부분을 지역으로 배치시킨 것을 두고 서울 소재 대학 출신자와 기회의 균형을 이루자는 취지에서 이탈됐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통상 입행 후 조사역(6~8년 근무) 기간 중 한 번 정도 지역본부 근무를 하고, 이 역시 인사규정상 의무조항은 아니다. 따라서 지방인재로 들어온 상당수가 2년 만에 동시에 지역으로 내려 보내진 사실은 형평성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이 의원은 “한은이 도입한 지역균형 채용의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는 처사”며 “지방의 우수한 인재가 제2의 차별을 겪게 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18일 민주당 이낙연 의원(전남 담양 함평 영광 장성)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지방인재로 채용한 6명의 직원 중 5명이 지방으로 발령이 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김중수 총재 취임 이후 직원의 수도권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2011년부터 지방인재채용목표제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신입직원 채용 시 합격 예정인원의 20%를 지방대 출신자로 뽑아 지방대 졸업생에게 기회를 넓혀주자는 취지로 시행됐다.
그러나 정작 선발된 지방인재 대다수는 2년 만에 다시 지방에 배치됐다. 이 의원은 이 날 국정감사에서 지방인재 인원 대부분을 지역으로 배치시킨 것을 두고 서울 소재 대학 출신자와 기회의 균형을 이루자는 취지에서 이탈됐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통상 입행 후 조사역(6~8년 근무) 기간 중 한 번 정도 지역본부 근무를 하고, 이 역시 인사규정상 의무조항은 아니다. 따라서 지방인재로 들어온 상당수가 2년 만에 동시에 지역으로 내려 보내진 사실은 형평성 논란을 피하기 어렵다.
이 의원은 “한은이 도입한 지역균형 채용의 원칙을 스스로 무너뜨리고 있는 처사”며 “지방의 우수한 인재가 제2의 차별을 겪게 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