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철도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마련
김병화 기자
5,024
공유하기
6일 국토교통부는 9일로 예고된 철도노조 파업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하며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입장을 밝혔다.
철도노조는 지난 3일 기자회견을 통해 철도공사의 ‘수서발 KTX 자회사’ 설립에 대한 반대를 이유로 파업을 선언한 상태다.
정부는 철도노조가 실제 파업에 들어가면 명백한 불법파업인 만큼 법과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철도파업에 따른 국민 불편과 국가경제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정부합동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6일 오후부터 가동한다. 9일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즉시 비상수송체제로 전환하여 대책을 시행하기로 했다.
3일 오전 서울 정동 민주노총에서 열린 철도노조, 총파업 돌입 기자회견에서 김명환 위원장(오른쪽)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철도 민영화 반대를 외치고 있다.(사진 = 뉴스1 박지혜 기자)
정부에서 마련한 비상수송대책의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출퇴근 교통불편이 없도록 통근·광역열차는 대체인력을 우선 투입해 평시와 같은 운행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또 원활한 중장거리 여객수송을 위해 KTX도 정상운행할 계획이다.
평시 대비 60% 수준으로 운행이 줄어들게 되는 새마을·무궁화 등 일반열차 수요에 대해서는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화물열차의 경우 대체인력의 제한 등으로 운행이 상당부분 감소할 수밖에 없어 물품의 특성상 철도를 통해 운송해야 하는 특수·긴급화물을 우선 처리한다. 화물자동차로의 전환수송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파업이 장기화돼 통근·광역열차 운행에 차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서울지하철 증회 운행, 버스노선연장·증편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완화시킬 방침이다.
중장거리 지역간 여객수송은 평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여유좌석과 예비편성 투입, 항공기의 여유좌석을 통해 처리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필요 시 추가 증편운행 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서발 KTX는 민간자본의 참여 없이 철도공사의 자회사에서 운영하기로 한 만큼 국민 불편이 없도록 철도 근로자들이 본연의 자리를 지켜주길 바란다”면서 “정부는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며 국민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