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모기지론, 국민주택기금 지원 확대 등을 담은 8.28 전월세 대책이 발표된 지 3개월이 지나면서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가 줄고, 집값이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거래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8.28 대책 이후 수도권에서는 군포시가 가장 높은 가격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20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한국감정원 아파트 매매값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8.28 대책 이후 9~11월 수도권이 0.82% 오른 가운데 군포시가 2.54%로 가장 많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군포시는 특별한 개발 호재 영향보다는 전세가율이 크게 높아지면서 일부 전세수요자가 매매로 전환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군포시의 11월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율은 69.7%로 70%를 육박하고 있다.

이어 서울 송파구가 2.36%로 뒤를 이었다. 송파구는 빠른 재건축사업 진행과 위례신도시, 문정법조타운, 제2롯데월드 등의 굵직한 개발들도 사업탄력을 받으면서 기대감이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인천 서구는 2.33%가 올랐다. 서구는 청라지구를 중심으로 청라IC가 6월 개통된 데 이어 청라~서울 강서 간선급행버스(BRT)가 7월부터 운행을 시작했고, 대형마트가 잇따라 개점하는 등 기반시설이 갖춰지면서 실수요자들이 몰리면서다.

다음으로 김포시가 2.2% 오르면서 뒤를 이었다. 김포시는 인근 지역에 비해 시세가 저평가 되어 있는데 김포시의 최대 숙원사업철도 사업이 김포시와 LH가 건설사업비 부담 협약식을 체결하는 등 급물살을 타면서 시세상승 기대감이 커진 것으로 분석된다.

김포지역은 특히분양 아파트도 꾸준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김포시 올해 7월 4491가구였던 미분양 가구수는 10 기준으로 3874가구로 줄었다.

서울에서는 관악구와 금천구가 많이 올랐다. 관악구는 1.829%, 금천구는 1.56%상승률을 기록했다. 관악구와 금천구는 상대적으로 서울에서 저평가 돼있어 8.28 대책 효과를 보고 있고, 박순 서울시장의 서남권 개발원 약과 함옛 도하부지 ‘롯데캐슬 골드파크’ 복합개발단지 개기대감 등 굵직한 개발호재가 크게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8.28 대책이 서민들을 위한 정책 중심으로 나온 만큼 실수요에게 가격에서 부담이 덜한 상대적으로 저평가 돼있는 지역 중심으로 오름세를 보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