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여성가장 ‘100만 시대’…강남구 여성비율 가장 높아
노재웅 기자
2,026
공유하기
서울시의 여성가구주가 1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강남구로 조사됐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기준 서울의 여성가구주는 98만4000명으로 전국 여성가구주 449만7000가구 중 22%를 차지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는 강남구가 52%로 가장 높은 여성인구 비율을 보였으며, 여성가구주 비율도 32.6%로 최고를 기록했다. 관악구는 여성가구주가 6만7000가구로 자치구 중에 가장 많았다.
반면 양천구는 여성가구주 비율이 23.7%로 가장 낮고, 중구는 여성가구주가 관악구의 5분의 1 수준인 1만4000가구에 그쳤다.
서울시 전체 사업체수 75만2000개 가운데 여성대표자를 둔 기업은 24만5000개로 32.7%를 차지했다.
지난 1995년 4.3%였던 기초의회의원 여성 당선자 비율은 2010년 18.6%로 확대됐다. 작년 기준으로 여성 기초의회의원 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강북구(46.2%)이고, 5급 이상 행정직 여성 공무원 비율이 최고인 자치구는 강서구(16.7%)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서울시 여성가족재단과 공동으로 작년 6~12월에 각 자치구 각종 행정통계의 10개 영역 233개 지표를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서울시 홈페이지 내 '통계로 보는 서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010년 통계청의 인구총조사 기준 서울의 여성가구주는 98만4000명으로 전국 여성가구주 449만7000가구 중 22%를 차지했다.
25개 자치구 가운데는 강남구가 52%로 가장 높은 여성인구 비율을 보였으며, 여성가구주 비율도 32.6%로 최고를 기록했다. 관악구는 여성가구주가 6만7000가구로 자치구 중에 가장 많았다.
반면 양천구는 여성가구주 비율이 23.7%로 가장 낮고, 중구는 여성가구주가 관악구의 5분의 1 수준인 1만4000가구에 그쳤다.
서울시 전체 사업체수 75만2000개 가운데 여성대표자를 둔 기업은 24만5000개로 32.7%를 차지했다.
지난 1995년 4.3%였던 기초의회의원 여성 당선자 비율은 2010년 18.6%로 확대됐다. 작년 기준으로 여성 기초의회의원 비율이 가장 높은 자치구는 강북구(46.2%)이고, 5급 이상 행정직 여성 공무원 비율이 최고인 자치구는 강서구(16.7%)로 나타났다.
이번 통계는 서울시 여성가족재단과 공동으로 작년 6~12월에 각 자치구 각종 행정통계의 10개 영역 233개 지표를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것이다. 서울시 홈페이지 내 '통계로 보는 서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