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국민, NH농협, 롯데카드 3사 모두 사과문을 통해 피해를 보상하겠다고 밝혔지만, 실질적 대책이 미흡해 카드소비자들의 '2차 분노'를 사고 있다.
 
이번 정보 유출 관련 카드3사는 소비자 피해에 대해 전액 보상하겠다고 밝혔으나, 이는 유출된 정보로 인한 금전적 피해가 발생된 경우에 한한다. 보이스피싱 사기 등 금전적 피해가 입증돼야 보상받을 수 있는 셈. 정보만 유출된 소비자의 경우 현재 월 300원짜리 무료문자 서비스를 받는 게 전부다.
 
이에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피해보상에 대응해야한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금융국장은 "정보유출 금융기관에 징벌적 손해배상 제도를 도입해 일벌백계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현재 금융소비자연맹은 집단소송을 위한 정보유출 피해사례를 접수 중이다.
 
KB국민카드는 20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신적 피해의 경우 금번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임이 인정되면 별도 보상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현재까지 구체적인 보상방안은 나오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