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측만증, 성장기 접어들면 휘어짐도 심해져..
최근 척추검진의 경우 빨리 발견할수록 질환의 치료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는 학부모가 늘면서 초등생들의 척추검진 비율이 점차 증가 하고 있다고 한다.

특발성 척추측만증의 경우 발병시기는 8세 전후 경으로, 이 시기에 척추측만증이 발견된다면 아직 심하게 나빠지는 코스를 보이지 않으므로, 무심코 넘기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성장이 빨라지는 청소년기에 척추의 휘어짐도 급격히 심해지기에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8세~10세에 척추 검진을 받고, 그에 따른 올바른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척추측만증은 허리, 어깨, 갈비뼈, 등, 목, 엉치, 발목 등 여러가지 통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 통증을 단순한 통증이라 생각하여, 전문적인 척추측만증 치료가 아닌 단순한 통증치료에서 그치게 된다면, 다른 질환까지 발병할 수 있다.


척추측만증을 그대로 방치해서 심각해질 경우, 소화가 잘안되거나, 숙면이 어렵고, 숨쉴 때 불편한, 생활에 지장을 주는 단계에 이르게 되면 수술이 불가피해질 수 있다.

서울휴재활의학과 김준래 원장은 “소아 척추측만증은 보통 초등학교 입학 전이나 저학년에 발생하는 경우로, 초기에 발견이 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면 악화를 막고 척추의 정상형태를 회복할 수 있다”고 말했으며, 이어 “척추측만증 치료는 단순한 통증치료를 하는 것이 아닌, 올바른 신체를 일상 동작 모두에서 하루 종일 바르게 유지하고, 사용하는 법을 환자 스스로 익히게 하는 치료가 되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도움말, 이미지제공=서울휴재활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