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산림청
▲제공=산림청
폐암을 유발한다고 알려진 라돈은 토양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방사성 기체로 무색무취이기 때문에 인간의 감각으로는 감지할 수 없다. 

이에 "침묵의 살인자"로 불리는 라돈(Radon)을 흡착하는 친환경 건축재가 개발됐다.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윤영균)은 "나무판을 탄화하여 라돈을 흡착하는 친환경 건축용 재료 개발에 성공했다"고 지난 3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라돈 흡착 건축재는 나무판을 600℃에서 탄화(열분해)하여 만든 것. 나무판을 탄화하여 만든 숯판으로 실내공기질 문제가 전혀 발생되지 않을 뿐 아니라 습도조절 등 기존의 숯의 기능을 그대로 보존한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또한 판상형태로 제조되어 천장, 벽, 내장재 등으로 널리 쓰이는 건축자재를 대신하거나 건축자재 위에 덧붙여 적용이 가능하여 인테리어 제품으로 사용이 가능해 적용범위가 넓다.

이러한 라돈 흡착 건축재를 사용하여 시멘트판에서 방출되는 라돈 흡착율을 조사한 결과 80%의 저감효과를 나타냈다. 미국 환경청(EPA) 기준(4 피코큐리)보다 훨씬 낮은 결과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는 라돈 방출이 높은 건자재와 함께 사용하면 라돈 방출량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국립산림과학원 목재가공과 박상범 과장은 "실내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라돈을 제거하는 친환경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다"며, "기술이전을 통해 새로운 개념의 기능성 인테리어 재료를 선보여, 목재 및 인테리어산업 발전에 기여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