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여성고용률 4년연속 남성 앞질러
차완용 기자
2,344
공유하기
20대 여성고용률이 4년 연속 남성을 앞지른 가운데 고용률 격차도 한층 더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해 20대 여성 고용률은 57.8%로 20대 남성(56.8%)보다 2.1%포인트 높았다. 고용률은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20대 여성 고용률이 20대 남성을 앞지른 것은 2010년부터다. 2010년 20대 여성 고용률이 58.3%로 20대 남성(58.2%)을 0.1% 앞지른 이후 2011년 0.4%, 2012년 1.5% 각각 격차를 보이며 웃돌았다.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경제활동참가율도 20대에서 남여 역전 현상이 2년째 지속했다.
2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2011년 62.5%에서 2012년 62.9%로 높아지며 64.0%에서 62.6%로 줄어든 20대 남성을 처음으로 앞질렀고 당시 격차는 0.3%포인트였다. 고학력 여성이 늘어나고 직업을 갖는 여성이 많아지며 노동시장 구조가 점차 바뀌고 있는 것이다.
사회 각 분야에서 여풍이 거세 전문직에서도 여성의 진출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사법시험 최종 합격자 306명 중 여성이 123명으로 40.2%에 달했고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합격자 272명 중에는 여성이 125명으로 46.0%를 차지했다.
한편 20대 전체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3% 하락한 56.8%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50대 고용률은 73.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학력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늘어난 가운데 취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청년층과 노후준비가 안된 장년·고령층의 경제 활동이 대비를 이루는 모습이다.
19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해 20대 여성 고용률은 57.8%로 20대 남성(56.8%)보다 2.1%포인트 높았다. 고용률은 15∼64세의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20대 여성 고용률이 20대 남성을 앞지른 것은 2010년부터다. 2010년 20대 여성 고용률이 58.3%로 20대 남성(58.2%)을 0.1% 앞지른 이후 2011년 0.4%, 2012년 1.5% 각각 격차를 보이며 웃돌았다.
생산가능인구 중 취업자와 실업자를 합한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하는 경제활동참가율도 20대에서 남여 역전 현상이 2년째 지속했다.
2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2011년 62.5%에서 2012년 62.9%로 높아지며 64.0%에서 62.6%로 줄어든 20대 남성을 처음으로 앞질렀고 당시 격차는 0.3%포인트였다. 고학력 여성이 늘어나고 직업을 갖는 여성이 많아지며 노동시장 구조가 점차 바뀌고 있는 것이다.
사회 각 분야에서 여풍이 거세 전문직에서도 여성의 진출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해 사법시험 최종 합격자 306명 중 여성이 123명으로 40.2%에 달했고 5급 국가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합격자 272명 중에는 여성이 125명으로 46.0%를 차지했다.
한편 20대 전체 고용률은 지난해보다 1.3% 하락한 56.8%로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았다. 반면 50대 고용률은 73.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학력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늘어난 가운데 취업에 어려움을 느끼는 청년층과 노후준비가 안된 장년·고령층의 경제 활동이 대비를 이루는 모습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