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들이 가장 원하는 수당은?
한영훈 기자
2,187
공유하기
직장인 10명 중 6명은 소속 직장의 복리후생제도를 잘 활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915명을 대상으로 복리후생제도 활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2.2%가 "잘 활용하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66%로 복리제도 활용도가 가장 저조했으며 중견기업 59.9%, 대기업 45.4% 순이었다.
복리후생제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는 과도한 업무(35.4%, 복수응답)가 지목됐다.
이어 괜찮은 제도가 없다(34%), 직원들이 사용하지 않는 분위기(31.4%), 해당되는 복지제도가 적다(27.8%), 회사에서 승인하지 않을 것 같다(25.8%), 주변 시선이 부담스럽다'(2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사 입장에서도 직원이 복리후생제도를 활용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에서 복리제도 활용을 적극 권장한다는 답변은 28.2%에 불과했으며 '불이익을 줘서 못쓰게 한다'는 답변도 무려 19.8%에 달했다.
또 회사의 복리후생제도 만족도 여부에 대다수의 근로자들이 불만족한다(83.8%)고 답했다. 이들 중 83.4%가 부족한 복리후생제도로 인해 이직을 고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이 가장 희망하는 복리후생제도는 보험·포상·수당이 28.3%로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야근수당(60.1%)을 가장 많이 선호했고, 휴일수당(49.7%), 연차수당(44.4%), 정기보너스(43.1%), 인센티브(39.7%), 자격증수당(22.6%), 직책수당(20.9%) 등이 뒤를 이었다.
또 학자금·지원금·대출(17.6%)이나, 휴가명절·기념일(15.9%), 교육·자기계발(11.9%), 교통·출퇴근(6.5%) 등에서 복리후생제도를 추가하고싶어 했다.
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915명을 대상으로 복리후생제도 활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62.2%가 "잘 활용하지 못한다"고 답변했다.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66%로 복리제도 활용도가 가장 저조했으며 중견기업 59.9%, 대기업 45.4% 순이었다.
복리후생제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는 과도한 업무(35.4%, 복수응답)가 지목됐다.
이어 괜찮은 제도가 없다(34%), 직원들이 사용하지 않는 분위기(31.4%), 해당되는 복지제도가 적다(27.8%), 회사에서 승인하지 않을 것 같다(25.8%), 주변 시선이 부담스럽다'(2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회사 입장에서도 직원이 복리후생제도를 활용하는 것을 달가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에서 복리제도 활용을 적극 권장한다는 답변은 28.2%에 불과했으며 '불이익을 줘서 못쓰게 한다'는 답변도 무려 19.8%에 달했다.
또 회사의 복리후생제도 만족도 여부에 대다수의 근로자들이 불만족한다(83.8%)고 답했다. 이들 중 83.4%가 부족한 복리후생제도로 인해 이직을 고민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이 가장 희망하는 복리후생제도는 보험·포상·수당이 28.3%로 가장 많았다. 구체적으로 야근수당(60.1%)을 가장 많이 선호했고, 휴일수당(49.7%), 연차수당(44.4%), 정기보너스(43.1%), 인센티브(39.7%), 자격증수당(22.6%), 직책수당(20.9%) 등이 뒤를 이었다.
또 학자금·지원금·대출(17.6%)이나, 휴가명절·기념일(15.9%), 교육·자기계발(11.9%), 교통·출퇴근(6.5%) 등에서 복리후생제도를 추가하고싶어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