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파선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竹공예품 "원형 찾았다"
강인귀 기자
4,092
공유하기
![]() |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18일 태안 ‘마도 1호선’ 수중 발굴조사에서 출수된 대나무 소반(小盤) 2점에 대한 보존처리를 완료하고 그 성과를 공개했다.
이 대나무 소반은 처음으로 발견된 고려 시대의 대나무 공예품이다.
‘마도 1호선’은 지난 2009년 태안 해역에서 발굴된 고선박으로, 고려 시대 전남 지역의 수령현(遂寧縣, 현 장흥), 죽산현(竹山縣, 현 해남), 회진현(會津縣, 현 나주) 등지에서 거둔 곡물(벼, 밀, 조, 피)과 생활용품을 개경으로 운반하다가 난파된 배이다.
마도 1호선은 같이 발견된 목간(木簡, 글을 적은 나뭇조각)과 죽찰(竹札, 글을 적은 대나무조각)을 통해 고려 희종 4년(1208) 침몰한 배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또 이 배에서는 대나무 소반 9점, 대나무 바구니, 대나무빗 등 다양한 대나무 공예품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대나무 소반 2점의 보존처리가 이번에 완료되었다.
이번에 보존처리된 대나무 소반은 수중에 매몰되면서 손상되고, 미생물에 의해 목질이 썩어 취약한 상태였다. 이를 보존하기 위해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보존처리팀은 국내외에서 연구 사례가 거의 없는 수침(水浸, 물을 함유한) 대나무의 특성과 보존처리 방법에 대한 연구를 2년간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 결과 수용성 PEG(Polyethylene glycol)에 함침(含浸) 후 진공동결건조법으로 보존처리하는 것이 수침 대나무의 형태유지 효과가 높았고, 유물의 색상 변화가 가장 적었다는 것을 알아내고 PEG를 40%(1점)와 70%(1점)까지 유물에 침투시켜 안정화한 후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하여 2012년 5월부터 올해 9월까지 보존처리하였다.
이렇게 보존처리가 완료된 대나무 소반의 크기는 가로 34.5cm, 세로 26.8cm, 잔존 높이 10.3cm(추정 높이: 12cm)이다.
한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수중 발굴조사뿐만 아니라 유물의 안전한 보존처리와 연구에 최선을 다해왔다. 특히, 수침 대나무의 특성에 대한 연구 성과를 널리 인정받아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목재보존학회로부터 지난 2012년 젊은과학자상(Ron Cockcroft Award)을 수상한 바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 고려시대 난파선(마도 1․2․3호선)에서 출수된 죽찰, 대나무 바구니 등의 보존처리를 연차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 밝혔다.
※ PEG(Polyethylen glycol): 산화에틸렌을 중합하여 얻는 고분자 화합물로 수침 목재의 보존처리에 널리 사용되는 약품
※ 진공동결건조법: 수침상태의 목재유물을 물의 삼중점 이하로 압력을 낮추어 목재가 함유한 수분을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건조과정 중 유물의 변형이 적고 처리 후 목재의 색과 질감이 유지되어 소형 수침 목재의 보존처리에 이용
※ 함침(含浸): 가스 상태나 액체로 된 물질을 물체 안에 침투하게 하여 그 물체의 특성을 사용 목적에 따라 개선함 또는 그런 작업
※ 진공동결건조법: 수침상태의 목재유물을 물의 삼중점 이하로 압력을 낮추어 목재가 함유한 수분을 고체 상태에서 기체 상태로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 건조과정 중 유물의 변형이 적고 처리 후 목재의 색과 질감이 유지되어 소형 수침 목재의 보존처리에 이용
※ 함침(含浸): 가스 상태나 액체로 된 물질을 물체 안에 침투하게 하여 그 물체의 특성을 사용 목적에 따라 개선함 또는 그런 작업
<이미지제공=문화재청>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