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년 올라갈수록 한글 파괴 현상 심해져…PC, 모바일, 친구 영향
한우리독서토론논술, 한글날 맞아 ‘학교 언어 사용실태’ 조사
강인귀 기자
6,322
공유하기
도서교육 브랜드 한우리독서토론논술(www.hanuribook.com)이 한글날을 맞아 실시한 ‘학교 언어 사용 실태 조사’결과 고학년으로 진학할수록 PC 및 모바일로 인한 한글 및 언어 파괴 현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조사는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 총 478명이 참여했으며, 한우리 온라인 커뮤니티 ‘한우리 북카페’ 방문자와 오프라인 회원들 중 초등저학년(1~3학년), 초등고학년(4~6학년), 중학생, 고등학생 학부모로 나눠서 진행됐다.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PC/모바일로 인한 잘못된 언어 사용 증가
자녀의 잘못된 언어 사용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서 PC/모바일 때문이라는 대답은 초등저학년 16.7%, 초등고학년 43.4%, 중학생 47.6%, 고등학생 53.8%로 집계됐다. 반면 또래집단 때문이라는 답변은 초등저학년 68.3%, 초등고학년 49.0%, 중학생 48.4%, 고등학생 37.6%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친구관계보다 PC와 모바일 사용으로 인한 언어 파괴 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저학년과 초등고학년은 2.6배의 차이를 보여 이 시기에 PC,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에 노출 빈도가 잦아지는 것이 잘못된 언어습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시간 이상 스마트폰 사용 시간 6.2배 증가, 독서량은 81% 감소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전체 학생의 49.2%가 ‘1시간 이상’이라고 답했고, 연령별로 살펴보면 초등저학년이 12.1%, 초등고학년 40.7%, 중학생 74.2%, 고등학생 75.3%라고 응답해 학년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사용 시간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녀들의 독서 시간은 전체 학생의 23.0%가 ‘1시간 이상’ 독서를 한다고 응답했다. 학년별로는 초등저학년 34.5%, 초등고학년 30.3%, 중학생 16.1%, 고등학생 6.5%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독서량이 감소했다. 특히, 초등저학년과 고등학생의 1시간 이상 스마트폰 사용 시간 비율은 6.2배나 증가한 반면, 1시간 이상 독서를 하는 학생의 비율은 81%나 감소해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부모 자식 간 커뮤니케이션 부족해
자녀들의 잘못된 언어 사용으로 인해 자녀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부모와 자식간의 소통이 어려워지고 대화 빈도수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들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낀 적이 없다고 답변한 부모는 초등저학년 63.8%, 고등학생 31.2%로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또한, 하루에 10회 이상 많은 대화를 나누는 학부모는 초등저학년 21.6%, 초등고학년 17.9%, 중학생 12.9%, 고등학생 10.8%로 감소했다.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위한 방안으로 1위 공교육, 2위는 독서 교육으로 나타나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서 부모들은 ‘학교 차원 지도(29.6%)’에 이어 ‘독서 교육(25.4%)’을 선택했다. 이어 ‘가정 내 언어교육(24.5%)’,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17.6%)’도 은어 및 비속어 사용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으로 꼽혔다.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정은주 연구소장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독서 시간이 줄고 PC와 모바일 등 여러 가지 스마트기기에 쉽게 노출되어 국어 파괴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며 “PC와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면서 언어와 글쓰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만큼, 독서를 통해 좋은 문장과 표현을 접해 바른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독서를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초,중,고 자녀를 둔 학부모 총 478명이 참여했으며, 한우리 온라인 커뮤니티 ‘한우리 북카페’ 방문자와 오프라인 회원들 중 초등저학년(1~3학년), 초등고학년(4~6학년), 중학생, 고등학생 학부모로 나눠서 진행됐다.
▶고학년으로 올라갈수록 PC/모바일로 인한 잘못된 언어 사용 증가
자녀의 잘못된 언어 사용의 원인을 묻는 질문에서 PC/모바일 때문이라는 대답은 초등저학년 16.7%, 초등고학년 43.4%, 중학생 47.6%, 고등학생 53.8%로 집계됐다. 반면 또래집단 때문이라는 답변은 초등저학년 68.3%, 초등고학년 49.0%, 중학생 48.4%, 고등학생 37.6%로 나타났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친구관계보다 PC와 모바일 사용으로 인한 언어 파괴 현상이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저학년과 초등고학년은 2.6배의 차이를 보여 이 시기에 PC, 스마트폰과 같은 디지털기기에 노출 빈도가 잦아지는 것이 잘못된 언어습관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시간 이상 스마트폰 사용 시간 6.2배 증가, 독서량은 81% 감소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전체 학생의 49.2%가 ‘1시간 이상’이라고 답했고, 연령별로 살펴보면 초등저학년이 12.1%, 초등고학년 40.7%, 중학생 74.2%, 고등학생 75.3%라고 응답해 학년이 높아질수록 스마트폰 사용 시간도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자녀들의 독서 시간은 전체 학생의 23.0%가 ‘1시간 이상’ 독서를 한다고 응답했다. 학년별로는 초등저학년 34.5%, 초등고학년 30.3%, 중학생 16.1%, 고등학생 6.5%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독서량이 감소했다. 특히, 초등저학년과 고등학생의 1시간 이상 스마트폰 사용 시간 비율은 6.2배나 증가한 반면, 1시간 이상 독서를 하는 학생의 비율은 81%나 감소해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부모 자식 간 커뮤니케이션 부족해
자녀들의 잘못된 언어 사용으로 인해 자녀의 학년이 높아질수록 부모와 자식간의 소통이 어려워지고 대화 빈도수도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들과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느낀 적이 없다고 답변한 부모는 초등저학년 63.8%, 고등학생 31.2%로 2배 이상 차이가 났다. 또한, 하루에 10회 이상 많은 대화를 나누는 학부모는 초등저학년 21.6%, 초등고학년 17.9%, 중학생 12.9%, 고등학생 10.8%로 감소했다.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위한 방안으로 1위 공교육, 2위는 독서 교육으로 나타나
올바른 한글 사용을 위한 가장 바람직한 방법을 묻는 질문에서 부모들은 ‘학교 차원 지도(29.6%)’에 이어 ‘독서 교육(25.4%)’을 선택했다. 이어 ‘가정 내 언어교육(24.5%)’, ‘스마트기기 사용 제한(17.6%)’도 은어 및 비속어 사용을 근절할 수 있는 방안으로 꼽혔다.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정은주 연구소장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독서 시간이 줄고 PC와 모바일 등 여러 가지 스마트기기에 쉽게 노출되어 국어 파괴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며 “PC와 스마트폰 사용자가 늘면서 언어와 글쓰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는 만큼, 독서를 통해 좋은 문장과 표현을 접해 바른 언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어릴 때부터 독서를 습관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