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등학교 방학 다양화, "현행 수업일수는 준수"
장효원 인턴 기자
4,757
공유하기
![]() |
교실 풍경 /사진=뉴스1 |
‘학교 봄 가을 방학’
교육부가 초중고 학생들의 수업 취약시기를 줄이기 위해 학교마다 자체적으로 방학을 편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초·중·고교에 월별 단기방학, 봄·가을방학 등 다양한 형태의 방학이 도입돼 학교마다 특색 있는 학사 운영이 가능해진다고 3일 밝혔다.
교육부는 '2015학년도 학사운영 다양화·내실화 추진계획'을 발표하며 월별 단기체험, 단기방학,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 혼합형 등의 방학 유형을 제시했다.
첫째는 '월별 단기체험(방학)형'은 매월 1∼2일 학교에 나오지 않고 활동 주제를 선정해 개인 또는 그룹별로 체험활동을 실시하는 유형이다. 두 번째는 중간고사를 마치고 10일가량 짧게 방학을 하는 '봄·가을 단기방학형'이다. 이 유형은 수업·평가·휴식이 반복된다.
세 번째는 겨울방학을 늘려 2월에 수업을 하지 않는 '2월 등교기간 최소화형'이다. 각종 평가가 끝나 취약 시기인 이 기간을 최소화하자는 취지다. 겨울방학 시점이 12월 말이나 1월 초로 미뤄지고, 끝나는 시기는 기존 봄방학(학년 말 방학)과 합쳐진다. 겨울방학이 늘어나기 때문에 여름방학은 조금 줄어든다. 마지막 유형은 앞선 3가지 유형 가운데 2가지 이상을 섞는 '혼합형'이다.
교육부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교원·학생·학부모의 의견을 내년 새 학기 전가지 수렴토록 했다. 형제·자매의 방학이 달라지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농어촌은 교육지원청 단위, 도시는 학군 단위로 협의·조정키로 했다.
혹시 방학이 늘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떨어질까 우려하는 학부모들에게 전문가들은 “현행 수업일수 190일은 준수하며 네 가지 유형의 방학을 도입하기 때문에 학력 저하의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초중고 방학 다양화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초중고 방학 다양화, 반가운 소식", "초중고 방학 다양화, 학생들 더 노는 것 아냐", "초중고 방학 다양화, 어차피 수업일수는 190일", "초중고 방학 다양화, 해봐야 알 듯" 등의 반응을 보였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