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반 이상'은 여성, 그래도 결혼이 힘든 이유
장효원 기자
2,666
공유하기
![]() |
내년 여성인구 남성 첫 추월 /사진=YTN뉴스 캡처 |
‘내년 여성인구 남성 첫 추월’
여성의 기대수명이 늘어나면서 내년 여성 인구는 남성 인구를 1만 명가량 추월해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지난 60년 이후 처음으로 여초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지난 23일 내년 여성 인구는 2천531만 명으로 남성 인구를 1만명 가량 추월하고 15세에서 64세까지의 생산가능인구도 오는 2016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며 2017년부터는 고령인구가 14% 이상 되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전체 인구에서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올해 639만명에서 계속 늘어나 2017년에는 712만명으로 700만명을 돌파한 뒤, 14세까지의 유소년 인구를 처음으로 추월할 전망이다.
지난해 기준 출생성비(여성 100명당 남성 수)는 105.3으로 여전히 딸보다는 아들이 많이 태어나고 있지만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길기 때문에 전체 여성인구가 남성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여성인구가 남성을 추월한 것은 지난 1960년 정부가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 있는 일로 통계청은 “한국이 세계 최하위권의 낮은 출산율이 지속되는 가운데 고령인구의 비중이 늘고, 여성의 기대수명이 남성보다 길어 내년에는 전체 여성 인구가 남성을 앞지를 것”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