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논란’, ‘최경환 기자회견’, ‘한국장학재단’, ‘어린이집 전수조사’, ‘판사 최민호’/사진=이미지투데이
‘연말정산 논란’, ‘최경환 기자회견’, ‘한국장학재단’, ‘어린이집 전수조사’, ‘판사 최민호’/사진=이미지투데이
‘연말정산 논란’, ‘최경환 기자회견’, ‘한국장학재단’, ‘어린이집 전수조사’, ‘판사 최민호’

연말정산 논란, 최경환 기자회견, 어린이집 전수조사, 판사 최민호 등으로 지금 포털사이트는 뜨겁다.

연말정산 논란으로 최경환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가 20일 오전 9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연말정산 달라진 세법과 이로 인한 이점, 그리고 보완책을 발표했다. 최 부총리는 “총 급여 5500만원 이하는 세 부담 줄게 되고, 늘어난 세금은 저소득층 지원에 쓸 것”이라며 “고소득자의 부담이 증가하고 저소득자의 부담이 경감해 세액 공제가 조세 형평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보완책은 적극 검토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2015년부터 대학생의 소득연계형 대학생 장학금인 국가장학금Ⅰ(일)의 산정기준에 금융재산과 부채가 추가되면서, 20일부터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소득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이번에 발표된 소득분위 결과는 국가장학금뿐 아니라 학자금 대출, 국가 근로장학금에도 적용된다.

어린이집 학대가 잇따르자 경찰이 지난 19일 ‘어린이집 전수조사’에 착수하겠다고 밝혔다. 강신명 경찰청장은 “CCTV 영상을 보여주지 않는 어린이집의 명단을 공개하겠다”고 으름장을 놓았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땜질처방’이라며 근본적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명동 사채왕에게 수억원을 받은 혐의로 수원지방법원 최민호(43·연수원 31기) 판사가 긴급체포됐다. 2002년 검사로 임용된 최 판사는 2009년 2월 판사로 전직하기 직전인 2008년 12월 작은 아버지로부터 ‘먼 친척뻘’인 최 씨를 소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08∼2009년 전세자금과 주식투자금 등의 명목으로 총 6억여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