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주 청동 유물 발굴, '중원' 휘어잡던 강력한 세력 수장의 묘
오문영 기자
2,514
공유하기
![]() |
'충주 청동 유물' /사진=뉴스1 |
'충주 청동 유물'
한반도의 기원전 초기 철기 시대, 지역 수장으로 추정되는 인물의 무덤이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에서 발견됐다.
매장문화재 전문 조사기관인 중원문화재연구원은 2014년 8월부터 호암동 부지를 발굴 조사한 결과 초기 철기시대 무덤 3기, 통일신라에서 조선시대에 이르는 각종 무덤, 삼국시대 숯가마 2곳 등을 확인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이날 현장설명회에서 공개된 무덤 3기는 돌무지나무널무덤 1기와 나무널무덤 2기 등 총 3기다. 돌무지나무널무덤은 묘 구덩이를 2단으로 판 뒤 바닥에 나무관을 안치하고 관 주변과 상부에 돌을 채운 방식이다.
상단 구덩이의 평면은 타원형이며 하단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져 있다.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길이 23~30㎝의 세형동검이 7점 출토됐으며 청동으로 만든 잔줄무늬거울, 청동투겁창, 청동꺾창, 청동새기개, 청동끌 등 다양한 청동유물이 부장품으로 출토됐다.
발굴조사단은 이번에 발굴된 무덤을 기원전 2~1세기경,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의 묘로 보고 있다.
발견된 충주 청동 유물은 철기시대에 만들어진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투겁창 등을 비롯한 19점의 청동유물 등이다.
해당 무덤에서 나온 19점의 청동유물은 단일 출토품으로는 국내 최대 수준이다. 1971년 전남 화순군 대곡리에서 발견된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새기개, 청동방울 등은 이듬해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