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북미시장에서 ‘스마트 에어컨’으로 한판 승부를 펼친다. 삼성전자는 ‘세계 최대 용량’의 시스템에어컨을, LG전자는 ‘고효율’ 시스템에어컨을 내세웠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오는 26~28일(현지시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냉난방 공조 설비 박람회인 ‘2015 AHR(Air-Conditioning Heating Refrigerating) 엑스포(Expo)’에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2015년 신제품 에어컨을 선보이며 북미시장 판매 확대에 나섰다. 지난 1930년부터 시작한 이 전시회는 세계 130여 국가 1900여 업체가 참가하고 3만여명이 관람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냉난방 공조 전문 전시회다.

용량이냐 효율이냐…삼성 vs LG, 북미서 '에어컨' 격돌

◆삼성 ‘최대’, LG ‘고효율’

먼저 삼성전자는 대용량에 적합한 압축기와 신규 유로를 적용한 최적의 열교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모듈형 VRF(Variable Refrigerant Flow) 시스템에어컨 중 세계 최대 수준인 16톤의 용량을 갖춘 ‘DVM S’를 새롭게 선보였다.

이 제품은 기존보다 실외기 설치 공간은 약 40% 줄여 건축물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건축물에 미치는 하중은 약 30%를 줄여 안전성까지 확보했다. 또 캐나다와 미국 북부처럼 상대적으로 겨울철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사용에 무리가 없도록 겨울철 저온 난방 시 냉매 순환량을 약 25% 증가시켜 영하 25℃의 혹한에서도 정상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또 지난 1월 초에 열린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인 ‘CES 2015’에서 친환경 디자인 및 지속가능성 부문 혁신상을 수상한 벽걸이 에어컨 ‘트라이앵글’도 전시한다. 이와 함께 수냉식으로 외부 온도에 상관없이 고효율을 유지하는 시스템에어컨 ‘DVM S Water’와 ‘덕트형 에어컨’, ‘원격 통합 에너지 관리 시스템’ 등도 선보인다.

박병대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은 “이번 ‘AHR Expo 2015’에서 선보인 세계 최대 용량 시스템에어컨을 비롯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제품과 역량 있는 공조 유통 전문회사를 바탕으로 북미 공조 시장 판매 확대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지난해보다 효율을 대폭 개선한 ‘멀티브이 4’(Multi V 4)를 공개했다. 이 제품은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북미 최고 통합냉방효율(IEER) 36을 달성했다. 최대 50마력까지 조합이 가능하도록 설계돼 조합모델 기준 용량 또한 북미 최대다.

‘멀티브이 4’와 연결해 사용하는 환기 제품인 ‘DOAS’(Dedicated Outdoor Air System)도 전시했다. 이 제품은 외부 공기와 실내 공기를 교환해 환기를 하고 공기청정과 제습도 동시에 한다. 이 전시회에서 ‘멀티브이 4’와 ‘DOAS’는 냉난방분야와 환기분야에서 기술력을 인정받아 각각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LG전자는 또한 기존제품 대비 냉방효율을 20% 이상 높인 고효율 ‘멀티에프’(Multi F) 신제품도 전시했다. 멀티에프는 실외기 한 대로 최대 8개의 공간을 냉난방 할 수 있는 제품으로 상대적으로 거주공간이 넓고 주택 규모가 큰 북미시장에 적합하다.

‘멀티브이’ 실내기 신제품은 냉매가 누설될 경우 리모컨 디스플레이로 이를 알려주고 실내기 필터를 청소해야 할 시간도 알려준다. 또 사용한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보여줘 편의성과 실용성을 높였다.

이밖에도 LG전자는 외부기온이 높을 경우 성능이 떨어지는 일반 실외기와 달리 냉각수로 컴프레서를 식혀 외부기온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인 냉난방 공급이 가능한 ‘멀티브이 워터 4’(Multi V Water 4) 등을 전시했다.

이재성 LG전자 시스템에어컨사업부장은 “LG전자 고유의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 기술력 기반의 다양한 시스템에어컨으로 미국을 비롯한 선진시장 공략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