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면홍조 예방법’

겨울철 안면홍조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짐에 따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다.


‘안면홍조’로 불리는 피부 붉음증 환자들은 온도변화가 심하고 건조해지는 요즘 같은 초겨울에 가장 증상이 심해진다. 모세혈관이 쉽게 확장돼 피부의 장벽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안면홍조증 환자는 갑자기 빨개지는 얼굴 때문에 대인기피증이나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한다.


안면홍조증으로 피부과를 찾은 환자를 분석한 결과 봄철에는 183명에 불과했으나 추운 겨울에는 285명으로 늘어났다.

피부과 전문의는 "우리 피부에 있는 모세혈관은 온도가 내려가면 수축되고 올라가면 확장되는 경향이 있다"며 "겨울철에 추운 외부 환경에 있다가 따뜻한 실내로 들어오게 되면 우리 피부에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되면서 혈류가 많아져서 붉어지게 된다"고 전했다.


안면홍조증을 예방하려면 실내외 온도차이가 심한 사우나나 찜질방은 피하는 것이 좋다.

또한 외출시에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고 자극적인 세안과 무리한 각질제거를 피하는 것이 좋으며, 뜨겁거나 카페인이 많이 든 음식을 줄이고, 치즈나 술 역시 줄여야 한다.


안면홍조 예방법 소식에 네티즌들은 "안면홍조 예방법, 우울증까지 오려해", "안면홍조 예방법, 겨울되면 더 심해지더라구", "안면홍조 예방법, 술 끊어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