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은 명절음식 활용법, 제사 치른 후 남은 음식 이젠 걱정 ‘끝’
한영훈 기자
8,121
공유하기
'남은 명절음식 활용법'
명절이 지나면 남은 음식들이 처치곤란일 때가 많다. 이때 남은 명절음식을 통해 맛있는 요리가 가능한 명절음식 활용법이 공개됐다.
먼저 명절에 먹고 남은 나물 등은 비빔밥, 김밥 등에 활용하기 좋다. 남은 나물을 김밥 등에 활용할 경우 풍미를 더해주기 때문. 또한 잡채 등의 식재료는 잡채 유부주머니 전골 등을 만들 때 재료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남은 전은 모둠 전 전골로 만들어도 된다. '모둠 전 전골'은 전골냄비에 모둠 전과 채소를 돌려 담은 다음 육수를 전골냄비에 둘러가며 부어준다. 뚜껑을 덮고 센 불에서 끓인 후, 끓어 오르면 중간불로 줄여 3분간 더 끓이다가 다시 중약 불로 줄여 뚜껑을 연 채 3분간 더 끓이면 완성이다.
이밖에 설날 떡국 용도로 사용한 뒤 남은 떡은 간식으로도 잘 활용할 수 있다. 묵은 김치와 떡·어묵·야채를 넣고 매콤한 양념장으로 간을 하면 김치 떡볶이가 완성된다.
명절이 지나면 남은 음식들이 처치곤란일 때가 많다. 이때 남은 명절음식을 통해 맛있는 요리가 가능한 명절음식 활용법이 공개됐다.
먼저 명절에 먹고 남은 나물 등은 비빔밥, 김밥 등에 활용하기 좋다. 남은 나물을 김밥 등에 활용할 경우 풍미를 더해주기 때문. 또한 잡채 등의 식재료는 잡채 유부주머니 전골 등을 만들 때 재료로 사용하기 적합하다.
남은 전은 모둠 전 전골로 만들어도 된다. '모둠 전 전골'은 전골냄비에 모둠 전과 채소를 돌려 담은 다음 육수를 전골냄비에 둘러가며 부어준다. 뚜껑을 덮고 센 불에서 끓인 후, 끓어 오르면 중간불로 줄여 3분간 더 끓이다가 다시 중약 불로 줄여 뚜껑을 연 채 3분간 더 끓이면 완성이다.
이밖에 설날 떡국 용도로 사용한 뒤 남은 떡은 간식으로도 잘 활용할 수 있다. 묵은 김치와 떡·어묵·야채를 넣고 매콤한 양념장으로 간을 하면 김치 떡볶이가 완성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